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4만㎞ 사이에 놓여있다.고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은 크기가 수㎜에서 수m인 얼음
덩어리
나 암석이다. 다시 말해서 자갈만한 크기의 물체들이 수없이 토성 주위를 돌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고리 물체의 전체 질량은 달 질량의 1백만분의 1에 불과하다. 이 물체들은 각각 자신의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증상이 심한 어린이를 오줌싸개라고 하며 어린이들의 위신을 여지없이 손상시키는 골칫
덩어리
다. 어렸을 때 소변을 가리는 훈련은 보통 한살 반 정도 나이를 먹었을 때부터 시작하게 되는데 세살이 넘어서도 밤에 이부자리에 오줌을 싸게 되면 이것을 야뇨증이라고 부른다. 여섯 살이 된 아이들의 1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은하가 보인다는 것이다.밝기는 8등급으로 관측조건이 좋다면 쌍안경으로 뿌연 안개
덩어리
를 볼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소형 망원경으로는 별처럼 생긴 소용돌이의 핵과 위성 은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은하의 나선 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천문대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노벨은 '이것은 어쩌면 폭발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그 조그만
덩어리
를 돌멩이로 두들겨 보았다. 안전했다. 그는 모래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키면 쉽게 폭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다이나마이트의 시작이었다. 그 뒤 연구를 거듭해 마침내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아니라 호흡에 치명적인 장애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다량의 혈액이나 혈액
덩어리
가 기관안으로 흡입될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기도폐쇄는 환자를 앉은 자세로 앞쪽을 향하게 허리를 숙이게 하면 막을 수 있다.또 지속성 재발성 출혈은 쇼크를 일으킬 정도의 혈액손실을 초래할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에멀션현상을 막는다. 에멀션이 형성되면 부피가 커질 뿐 아니라 끈적한 타르(tar)
덩어리
가 돼 바다밑바닥에 가라앉기 때문이다.그러나 유분산제에 함유된 솔벤트는 생물에게 독성이 큰 성분이어서 당장에 기름막을 제거하더라도 2차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더 막대해질 수 있다. 67년 영국 근해에서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하려면, 머리 속에 조용히 숨쉬고 있는 두부같은 회백색의 뇌
덩어리
를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뇌와 연계되는 행동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려 할 때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방법론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까지 신경과학의 연구방법은 원칙적으로 분석적이며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 있는 위성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해 수년내로 서비스가 제공될 전망이다.땅
덩어리
가 넓은 미국에서는 대형트럭이 물건을 싣고 수천 ㎞에 이르는 거리를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트럭에 통신 단말기를 설치,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지상기지국에 현재의 트럭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얻을 수 있다.우주의 팽창은 별이나 은하 같은 비균질한
덩어리
를 만들어낸다. 아울러 이
덩어리
가 내는 열이 저온이 된 주위(팽창에 따른 냉각으로 인해)로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해 엔트로피의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엔트로피가 보다 높은 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2주만에 열수배출구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 것이다. 배출구의 입구는 해면 박테리아
덩어리
새우로 완전히 채워져 있었다. 박테리아와 새우는 해양의 열수배출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이다. 그러나 해면이 입구주위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 해양 유기물들이 어떻게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