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체에 의문을 갖고 탐구를 시작했다는데 있다." 만약 자신도 공학자 입장에서 쓸모없는
덩어리
에 관심을 두지않고 아라미드섬유만을 좇았다면 아라미드 펄프를 합성해 내지는 못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윤박사는 또 "관계당국의 정책수행자조차도 과학과 기술의 차이를 모르는 것이 문제"라고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러한 인력의 존재를 무시해 버리게 된다.우리가 반물질의 개개 입자들이나 소수의 입자
덩어리
를 연구할 때도 우리는 직접 인력의 효과를 측정할 수 없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간접 실험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가령 양성자와 반양성자가 정확하게 같은 질량을 갖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면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문제점이 있어서 새로이 모델을 바꾸어야 한다면 그전에 만든 비행기는 순식간에 고철
덩어리
가 되어 버릴 것이다. 더구나 그런 비행기가 간단한 글라이더나 농약치는 비행기 정도가 아니라 대형수송기라면 실물제작은 어미어마한 모험이 될 것이다.이 사실을 항공기 제작자들은 누구보다도 잘 알고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물질은 목성이나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물질과는 달리 크기가 1m 이상인 검은색의 큰
덩어리
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토성고리 물질이 입사하는 빛의 80% 이상을 반사하는데 반해서 천왕성의 고리물질은 겨우 5% 정도 밖에는 반사시키지 못한다. 이 물질은 주로 검은 탄소물질일 것으로 추측하고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아마 여러분은 통신공간을 경험하는 순간 차디찬 반도체
덩어리
에 불과했던 컴퓨터가 처음으로 따뜻한 인간미를 지닌 정보전달자 임을 느끼게 될 것이다.자 그러면 컴퓨터통신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먼저 통신을 하려면 어떠한 준비가 있어야 할까. 가장 기본적인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Galaxy)로 불리는 이 은하의 밝기는 8등급 정도로 작은 망원경으로는 길죽한 작은 구름
덩어리
로 보여질 것이다.기타 문의 사항이 있거나 아마추어 천문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싶으신 분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 약칭 KAAS, 전화(02-453-8158)로 연락하시거나, 매월 넷째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즉 우리가 10년 가까이 1천억원의 돈을 들여 개발한 '기술
덩어리
'가 아무런 보호대책 없이 국제시장에 던져진다면 '10년 공부 도로 아미타불'이라는 얘기다. 네개사가 전전자 교환기 기술이 전무하다시피한 동구권 국가와 동남아시아 국가에 기술수출 경쟁을 하다보면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DNA는 보통 끈모양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세포분열시에는 색소로 염색하기 쉬운
덩어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염색체다. 염색체내에는 많은 유전인자가 포함돼 있고 세포속에는 같은 염색체들이 다수 존재한다. 잉어의 경우 1백개의 염색체가 한 세포안에 있는데 이 속에는 약 5만개의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은하수는 매우 거대한
덩어리
상태로 존재하는데, 2백억년이란 세월조차도 그와같은
덩어리
를 형성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그러나 이제 대마젤란운의 거리와 관련된 비교적 정확한 수치를 가지고 우리는 보다 좋은 출발점에서 다시 계산을 거듭해 볼 수 있게 됐다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플랑크톤이 서식하는데 필수적인 철분(Fe)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고철
덩어리
를 가루로 만들어 이 해역에 뿌리면 플랑크톤의 수가 급격히 늘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해양계의 탄소순환은 빙하기의 도래와도 관계가 있다. 빙하기와 간빙기의 대기중 탄소량을 비교하면 2백기가t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