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다는 오베도스터 박사의 연구결과는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보건
대학원
백도명 교수는 “설탕가루 자체가 흡수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설탕은 체내 물질에 녹아 다당으로 분해돼야 몸에 흡수되지 설탕가루 자체가 몸에 그대로 흡수되지 않는다. 그런데 뇌에서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연구팀에서 사용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도 이런 방법들 중 하나다. 영국 런던경영
대학원
에서도 최근 이 장치로 소비자들의 쇼핑 행동에 대해 연구했다. 여러가지 상품을 진열해둔 상황에서 실험 참가자들이 각자 선호하는 브랜드를 선택할 때 뇌에서 기억과 관련된 부위들이 모두 활성화됐다는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학문이긴 하지만 그래도 뒤늦게 수학을 시작하셔서 어려움을 겪지 않았나요?4학년 때는
대학원
을 수학과로 준비했기 때문에 공부할 양이 많았어요. 하지만 다행히 어려움을 별로 못 느꼈습니다. 워낙 하고싶은 일을 해야 하는 성격인지라 그랬던 거 같습니다. 수학은 제게 물고기가 만난 물과 ... ...
로봇 과학자 탄생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빨리 답을 얻을 수 있는 가설과 실험을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로봇의 실험 경비는
대학원
생들의 3분의 2에 불과했다.유전자 기능을 규명하는 실험은 과학자들이 늘 고역으로 여기던 아주 단조로운 반복작업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단조로운 연구를 로봇 과학자에게 맡기면 연구자들이 좀 더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여기서 유기물 분자가 합성되고, 무기물로 산화되는 것이 방지됐다고 생각했다 시카고대
대학원
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대기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윈의 식탁을 여기까지 이끌어오신 것 아닙니까?그런데 해밀턴 박사님이
대학원
시절을 이곳 런던정경대학에서 보내면서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념비적인 논문인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1964년)를 집필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겁니다. 사실 더 큰 규모의 강당도 있었지만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기는 1970년대 초. 초파리의 변태가 일주기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미 캘리포니아공대
대학원
생 론 코놉카는 획기적인 가정을 세웠다. 일주기리듬을 다스리는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그는 2천마리의 초파리에 약물을 먹여 돌연변이를 유도했다. 그리고 일주기리듬에 문제가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단다.그의 홈페이지에는 새로 발견한 달팽이의 이름을 묻는 초등학생의 질문에서부터
대학원
진학과 졸업 후의 진로를 상담하는 재학생의 글까지 하루에도 수십개의 글들이 시간을 가리지 않고 올라온다. 그렇게 주고받은 게시판의 글만도 1만여개에 이른다.사실 생물학은 많은 학생들이 망설이는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다시 만났다. 알고 보니 한국의 태양광·풍력 발전기술을 배우기 위해 사업팀에 합류한
대학원
생인 투야 씨였다. 몽골인들의 코리안 드림에 한국의 기술력이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서로 돕는 두레 풍습에서 힌트 얻어 명명한 ‘DURE-Gobi Project’2003년 6월 유목민들에게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 ...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연구들이 시작됐으며, 1995년부터 연세대, 성균관대, 서울대, 부산대 등의 순서로
대학원
과정의 인지과정 프로그램이 운영중에 있다.인류의 생물학적 진화는 현재 거의 정지됐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컴퓨터와 마음, 두뇌와 문화를 연결해 인간의 한계를 창의적으로 극복하려는 인지과학의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