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당시 그 학교에서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었지만 ‘동양에서 온 아이 낳은
대학원
생’은 누구나 아는 유명인사로 기억되었다.“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를 민감하게 여겼다면 그렇게 당당하게 학교를 다니지 못했을 거에요. 무식하면 용감하잖아요.”그는 이 용기의 근원이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되자고 약속했다. 약속대로 그는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해서도 물리를 전공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컸다. 그래서 그는 지금도 학부 학생들에게 관측의 기회를 많이 주려고 한다. “천문학은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준의 관심정도였다고 그녀는 말한다. 당시 그녀의 전공이자 관심은 초신성.우연찮게
대학원
시절 옆방 동료이자 이제는 평생 반려자가 된 리치 박사의 연구를 접한 그녀는 적외선의 매력에 쏙 빠져버렸다. 2001년 남편과 함께 스피처 연구센터로 옮겨온 그녀는 스피처 발사 전부터 지금껏 여러 성운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대학원
에서 공부를 해보기로 결정한 뒤 1년 동안 죽기 살기로 공부했다. 운이 좋았다.
대학원
을 졸업할 무렵 마침 한국과 프랑스가 정부간 협약을 맺어 프랑스에서 공부할 수 있는 제도가 생겼다. 장학금은 프랑스 정부에서 댔다. 이 제도가 겨우 3년 시행됐으니 김 교수는 “운이 좋았다”고 말한다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오리온 자리), 새 잡는 그물 별자리 ‘루수’(양자리) 등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대학원
(서울대 천문학과)에 다닐 때 예전 사람들이 쓰던 우리별 목록을 현재 별들과 하나하나 맞춰봤어요. 별이 별자리로 늘어나고 쌓인 정보를 책으로 펴내게 됐지요.”고천문학 전문가인 한국천문연구원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76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졸업.1981년 미국 버클리대학교 미생물학 박사.1981년-1985년 MIT
대학원
박사후 연구원.1985년-1999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2001년-200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긴장상태연구단 단장.2002년-현재 과학기술부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여기서 유기물 분자가 합성되고, 무기물로 산화되는 것이 방지됐다고 생각했다 시카고대
대학원
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대기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 ...
독개구리 '독'(毒)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금까지 독개구리가 어떻게 몸 안에서 독을 만드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미국 코넬대
대학원
생인 발레리 클락씨는 마다가스카와 중남미에 사는 개구리들의 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개미를 비롯한 벌레를 먹어 독을 얻는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클락씨는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로봇산업계에 대한 지원과 함께 로봇전문연구소·
대학원
을 신설하는 등 연구 인력을 적극 육성할 예정이다. 로봇산업과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도 이에 맞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마인드스톰에서 브릭으로 로봇 뼈대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작성해 작동시키는 과정은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충분히 센 자석이라면 종이가 붙습니다.”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거쳐 물리학과
대학원
에서 입자물리를 전공한 그는 1986년 남서울중 교사로 근무하다 ‘가르치는 일이 너무 재미있고 할 일이 많다’는 생각이 들어 물리교육에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2년 반의 현장 경험 뒤 서울대 박사과정에 들어온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