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상대방이 말하는 크기를 금방 알 수가 없다. 전 세계인들끼리 서로 통할 수 있는 표준단위가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길이의 표준단위는 1cm? 1m?길이의 표준단위는 1m이고, 그것으로 만들어진 1mm, 1cm, 1km 등은 보조단위다. 하지만 길이단위를 처음 다루는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높일 수 있습니다. 학교 성적으로 자신의 수준을 아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전국 단위의 시험으로 알아봐야 정확하지요. 여러 단체에서 전국학력평가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권의 학생들에게는 경시대회에 나갈 수 있는 발판도 되니 참여해 보세요 ...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바빌로니아에서는 달의 모양과 운동을 이용한 음력을 만들었으며, 지금과 같은 7일 단위의 일주일을 사용했습니다. 19년마다 7번의 윤달을 넣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슬람 교도들은 선지자 마호메트가 메카를 향해 떠난 622년을 시작으로 순수한 음력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조금 더 과학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프랑스 대혁명 직후에 있었다. 혁명정부는 7일 단위인 일주일을 십진법으로 바꾸려고 했다! 이 시도는 당연히 실패했다. 7일에 한 번씩 휴일이 있다가 느닷없이 휴일이 10일에 한 번씩으로 바뀐다고 생각해보라. 이렇게 어이없는 정책을 강요하다가는 프랑스 ... ...
- 수능 가중치 유리하게 활용하라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지난 11월 12일 2010학년도 수능이 치러지며 본격적인 정시 전형이 시작됐다. 자연계 상위권 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은 정시 일정을 꼼꼼히 파악하고 자신이 ...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부터 약대 모집이 줄어들면서 자연대의 일부 모집 단위는 합격선이 계속 올라가는 추세다 ...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단위로 분석하는 XPS로 표면을 분석한다면 해상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두께가 나노미터 단위인 미세한 탐침을 표면에 근접시키면 표면을 이루는 원자를 하나씩 관찰할 수 있다. 원자 알갱이 하나하나에 바늘을 갖다 대 에너지(일함수)를 알아내는 격이다. 결국 표면의 일부분만을 분석하는 XPS와 달리 ...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살펴보게 된다.이 과정에서 KVN의 원 관측자료는 4MB(메가바이트, 1MB=106B) 정도의 작업단위로 나뉘어 코리아앳홈 사용자들에게 분배된다. 코리아앳홈 플랫폼 사용자들이 보유한 PC의 여유 공간을 활용해서 전파신호를 포착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 결과는 코리아앳홈 서버에 보고된다.주기 짧은 ...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이 행성은 지구에서 약 2만 1500광년 떨어진, 태양 질량의 22%인 적색왜성을 2.6AU(천문단위, 1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 떨어져 돌고 있다. 한 교수팀도 같은 해 지구질량의 13배인, 당시 3번째로 작은 외계행성을 발견해 ‘미국천체물리학회지’에 발표했다. 한 교수는 “미시중력렌즈법이 ... ...
- 세포 및 미생물공학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생활 전반이 바이오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새삼 느꼈다. 생물의 작은 기본단위에서 많은 유용함을 창출하는 미생물공학이야말로 현대의 오병이어(五餠二漁)가 아닌가 싶다 ...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이룬 해였다. 스타이츠 교수팀(50S단위체)과 라마크리슈난 박사팀과 요나스 박사팀(30S단위체)이 마침내 원자 하나하나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고해상도 구조를 규명했다. 이듬해에는 놀러 박사팀이 리보솜의 중해상도 구조를 밝혔고, 마침내 2005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도드너 케이트 교수팀이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