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특히나 비의 양을 잴 때는 자· 치 · 푼까지 정확하게 재고 있는데 지금 단위로 약 3mm 단위까지 측정했어요. 이렇게 잰 자료를 각 지방에서 기록하고 중앙에 보고했죠. 덕분에 중앙에서는 각 지방의 비 피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➊비가 그쳤을 때 재며, 자는 주척을 쓴다.➋비가 내리기 ...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개념은 1000년 전 페르시아의 과학자 알 비루니가 처음으로 도입했다. 하지만 1초라는 단위를 실제로 사용한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1초를 나타낸 최초의 시계는 오스만 제국(터키)의 천문학자 타키 알딘이 개발했다. 알딘은 이스탄불 천문대에 있을 때 별을 관측하기 위해 시, 분, 초를 표시하는 시계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입학시험에 의해 학생을 선발한다. 과학고는 시·도 단위로 선발하며, 영재학교는 전국 단위로 선발한다. 선발시기도 달라서 과학고는 12월, 영재학교는 6~7월에 입학전형이 실시된다. 또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는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지금부터 과학고와 영재학교의 입시 경향을 비교해서 살펴보자. ...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과학동아 l2009년 12호
- 개발하는 데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재료다.현 교수는“전기적, 광학적으로 나노미터 단위의 반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자성과 전자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세대 반도체(자성반도체)를 만드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1월 16일‘네이처 ...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조금 더 과학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프랑스 대혁명 직후에 있었다. 혁명정부는 7일 단위인 일주일을 십진법으로 바꾸려고 했다! 이 시도는 당연히 실패했다. 7일에 한 번씩 휴일이 있다가 느닷없이 휴일이 10일에 한 번씩으로 바뀐다고 생각해보라. 이렇게 어이없는 정책을 강요하다가는 프랑스 ...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마우스의 왼쪽 위치를 주의해서 찾아야 한다. 지점간의 시간 간격이 ms(밀리초)의 단위로 나타나므로 1/1000을 곱해 sec(초)로 환산해 계산한다.⑥ 측정한 거리와 시간을 이용해 속력=이동거리시간의 방법으로 소리의 속력을 구하고, 이 값이 프로그램에 포함돼 있는 ‘음속 계산기’를 이용해 계산한 ...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수학동아 l2009년 12호
- 거의 없다. 물속의 오염물질을 분해할 때 드는 산소량(BOD)이 1ppm(100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이하여서 바로 마실 수 있다. 피라미나 은어가 사는 물은 2급수로 BOD가 3ppm 이하로 끓인 다음 마실 수 있다. 거머리나 붕어가 사는 물은 3급수로 오염물질이 6ppm 이하로 식수가 아닌 공업용수로 써야 한다. ...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흐르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하루는 너무 짧았고 일 년은 너무 길어서 중간 정도 되는 단위가 필요했던 것이지요. 마침 달은 눈에 잘 띄면서도 적당한 주기로 모양이 변했습닏. 이렇게 달을 이용해 날짜를 계산한 것이 음력입니다.그런데 달의 모양 변화로 한 달을 정하니 불편한 점도 생겼습니다. ...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상대방이 말하는 크기를 금방 알 수가 없다. 전 세계인들끼리 서로 통할 수 있는 표준단위가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길이의 표준단위는 1cm? 1m?길이의 표준단위는 1m이고, 그것으로 만들어진 1mm, 1cm, 1km 등은 보조단위다. 하지만 길이단위를 처음 다루는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반올림해 얻은 근삿값의 오차 한계는 근삿값의 맨 끝자리 단위 값의 1/2이다. 또 측정값은 반올림해 얻은 근삿값이므로 측정값의 오차 한계는 측정 계기의 최소 눈금의 1/2이다근삿값에서 50과 100은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00으로 같다. 즉 작게 보면 차이가 있지만 크게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