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필승 전략인 2×2 초콜릿으로 잘라 상대방에게 넘기지 않았을 때다. 즉 실수를 했을 때다. 결국 상대방이 실수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에서 3×3 초콜릿도 받으면 무조건 지게 되니까 3×n(또는 n×3, n>3) 초콜릿이 오면 무조건 이긴다.3 귀납적 추론하기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무조건 이기게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답은 변하지 않고 제값을 유지하고 있다. 수억 번 이상 시도할 수 있다면 슈퍼컴퓨터는 결국 답을 찾아낸다.반면 양자암호는 답을 얻기 위해 단 한 번에 측정을 허용하는데, 이는 양자 정보의 비가역성 때문이다. ‘ㄱ’방식으로 입력된 정보를 ‘ㅅ’방식으로 잘못 읽으면, 원래 정보를 담은 방식이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오래 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천천히 늙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거쳐 결국은 ‘인간은 왜 늙는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으로 수렴한다.인간은 왜 늙는가. 아주 어려운 질문이다. 그 누구도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한 답을 하지 못한다. 저명한 러시아의 유전학자 조레스 메드베데프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달걀 도둑 ‘에그 머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뜻이 뭔지 알아맞혀야 한다고!” 썰렁홈즈, 아침형 인간이 되다?!썰렁홈즈의 활약으로 결국 ‘에그 머니나’가 훔쳐갔던달걀을 모두 양계장에 돌려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다음날 새벽, 썰렁홈즈 귀에 요란한 닭 울음소리가 다시 들려오는데….“꼬끼오~! 꼬꼬댁~ 꼬꼬꼬꼬~.”양계장 주인이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빨리 진행하겠습니다만, 금년은 예산 부족으로 어렵습니다”라는 대답도 나왔다. 결국 우리 시의 이상한 기후를 전국 TV 방송에서 특집으로 한 번 다루면서, 이것이 무슨 정권 때의 무리한 토목 공사와 관련이 있다느니, 무슨 정권 때의 지구 온난화 대응 전략과 관련이 있다느니 하는 이야기가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백인 학교에 다니도록 허가를 받은 뒤에야 겨우 엔지니어가 될 수 있었다. 그런 메리도 결국에는 자신이 좋아하던 엔지니어직을 버리고 여성과 소수자를 양성하는 직책으로 자리를 옮긴다. 고위 기술직으로 승진하는 데 장벽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예컨대 연구진이 인맥을 쌓기 위해 사용하던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결국 그 물질의 근원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물질을 영원히 계속 쪼갤 수 있다면 결국 아무 것도 남지 않을 테니 언젠가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단위에 다다를 것이다. 이때 우리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의미의 멋진 단어, ‘원자(Atom)’와 마주하게 된다.그리스 철인들의 꿈을 이룬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즉 친족에 대한 사랑은 비친족에 대한 증오를 뜻한다는 것도 알아차렸는가? 인간은 결국 유전자의 노예란 말인가? 정말 그렇다면, 인류에게 희망은 없는 것인가?프라이스는 망치로 얻어 맞은 듯한 느낌이었다. 해밀턴의 계산이 맞는지 직접 확인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물론 그러자면, 유전학을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0, 1, -1) 중 두 개는 시간과 전하 반전을 연속한 것과 같다. 따라서 하나만 남고(AIII, S=1), 결국 모든 차원에서 각각 10가지의 분류가 생긴다. Z는 위상수학적으로 물질을 구분하는 숫자를 말하는데, Z2인 것은 두 가지 양자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자세한 내용은 2016년 과학동아 11월호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헌재 판결문처럼 써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선고문에서 유추하건대, 흥미진진함이란 결국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온다. 이석원 서울대 음악학과 교수는 저서 ‘음악하는 뇌’에서 “새 정보를 접할 때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놀라움, 새로움, 변화, 복잡성, 모호성을 든다”며 “음악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