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관모양이 됩니다. 관은 이내 외배엽에서 떨어져 나와 신경관으로 발달하는데요. 이것이 결국 뇌와 척수가 됩니다.신경관 발달… 엽산 섭취가 중요?U자 모양의 신경고랑이 동그란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신경주름 세포들 사이에서 벨크로(찍찍이) 또는 지퍼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아주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선택에도 적용된다고 한껏 호기를 부렸다. 해밀턴은 독자적으로 이 문제를 파고들었다. 결국 해밀턴은 1969년 12월에 마침내 자신이 그 해법을 찾았노라고 프라이스에게 편지를 보냈다. 해밀턴이 보낸 논문의 초고를 읽고, 프라이스는 당황해 하며 말했다. “내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결과들이 많군요.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무임승차’를 하는 클론이 경쟁에서 생산자 클론을 이긴다면 공유자원은 사라지고, 결국 전체 암 군집도 약해진다. 상리공생은 둘 이상의 클론이 협력해 전체 암 군집에 이득이 되는 인자를 생산하거나 자원을 획득하는 작용이다. 종양내이질성을 크게 만들어 전체 암 군집의 생존력을 높인다.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016 리우올림픽에서 펜싱의 박상영 선수가 ‘나는 할 수 있다’를 반복해 되뇐 끝에 결국 우승을 따낸 것과 같다. 김상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최면을 아직도 옛날 어느 부족의 주술의식으로 여기는 사람이 있는데, 최면은 이미 반세기 전에 의학으로 인정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곳으로 날아갔다. 그녀는 입가를 찡그리면서 다른 인형을 노렸고, 여섯 번을 시도한 끝에 결국 명중시켰다.“좋았어! 어제는 하나도 못 맞췄는데 이제 적응했나봐. 아저씨, 인형 주세요.”노마는 선반 아랫부분을 열고 제니가 맞춘 것과 똑같은 해바라기 인형을 꺼내 주었다. 제니는 선반 위에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f(k, r)이 (r-1)k보다 작을 때 꽃잎이 r개인 해바라기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결국 최적인 f(k, r)은 (r-1)k과 k!(r-1)k 사이지요. 이어 에르되시와 라도는 최적인 f(k, r)은 (r-1)k처럼 지수함수라고 생각하고 다음과 같이 추측했습니다. 에르되시와 라도의 해바라기 추측모든 k에 대해 f(k, r)≤c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시간을 알 수 없는 문제로, 단지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데 걸리는 시간만 알 수 있다. 결국 최단 경로를 알기 위해서는 모든 경우를 일일이 따져봐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하기 때문에 자릿수의 조합마다 짝수가 되는 수를 넣어 여러 개의 해밍부호가 붙는다. 결국 해밍부호를 써서 메시지를 보냈을 때 2진수의 합이 홀수면 오류가 있다는 뜻이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위험하지 않고, 또 다양한 종을 보전할 수 있는 동물원을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아스트로 사파리’ 같은 동물의 천국이 탄생했지요. ① 1700년대 이전의 야생을 보여줄게 도심 속 사파리동물원 디자인을 연구하는 존 코는 2012년 2월, 미국 뉴 욕 카니시우스 칼리지에서 열린 ‘미래 동물원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줬다. 그러나 탈출하는 날 이카로스는 더 높게 날고 싶은 욕망에 태양에 다가갔고, 결국 뜨거운 열에 깃털을 붙인 밀랍이 녹아 바다에 떨어져 죽고 말았다. 이 이야기는 예부터 하늘을 자유로이 날고 싶었던 인류의 욕망을 대변하면서, 동시에 인류가 비행기를 개발할 수 밖에 없었던 필연을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