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원
정부
스페셜
"
정부위원
"(으)로 총 1,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바이오뱅크’라고 들어보셨어요?" 12일 오전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만난 김한겸(56) 병리학과 주임교수(인체유래검체거점센터장)는 처음 보자마자 질문을 던졌다. "미국에선 바이오뱅크 사업을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로 지정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죠. 유럽, 호주 등 생명과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진이 사이언스에 실은 논문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정작 논문 인용횟수는 늘지 않았다. 양으로만 평가하는 현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국내 바이오산업이 축포를 울릴 날은 멀다.”(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장) “국내 생명공학 학생들은 교수가 되기 위해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사람에게 목적을 맞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 될 때 진정한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선경 고려대 의대 흉부외과 교수(54)는 올해 4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스스로를 ‘칼잡이’로 소개한 그는 “국과위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를 위촉한 것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생명공학 분야의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좁혀가기 위해 국내 생명공학 연구진의 인력과 전공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갈 생각입니다.” 5일 서울시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석 생명복지조정과 과장은 릴레이 회의로 수척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지식재산 측면에서 연구수준을 평가한다면 연구가 얼마나 창의적인지, 결과를 지식재산화 했는가 두 측면에서 봐야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고충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장(LG전자 상무)는 지식재산이라는 측면에서 우리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2000년대 바이오산업을 의약품 벤처가 주도했다면, 앞으로는 대규모 바이오화학 기업이 이끌어 나갈 겁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투자한다면 20년 뒤에는 원유 대신 미생물로 만든 우리나라의 친환경 플라스틱이 세계 시장에 널리 퍼질 지도 모르죠.” 정준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는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011 바이오 국제컨벤션’을 취재했다. 행사에는 내로라하는 생명공학 기업과 연구소 종사자들이 참석해 최근 산업계 동향과 정보 등을 나눴다. 본보는 이 행사와 관련한 주요 내용과 보스턴 인근의 한인 생명공학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제한된 연구비로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줄기세포 연구는 수월성 경쟁에서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김동욱 세포응용연구사업단장(50)은 연세대 의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국내 생명공학(BT) 산업은 2009년 기준 5조6362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1조1795억원 규모에서 10년 동안 5배 가까이 고속 성장한 것이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도 지난해 1조4383억원으로 2000년(2462억원) 당시에 비해 약 7배 증가했다. 하지만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이 같은 성장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생명공학처럼 전 부처에 걸쳐 있는 과학 분야는 없습니다. 한정된 연구 예산을 부처간 조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써야 합니다. 각 부처의 특징을 살린 연구개발(R&D)이 이뤄져야합니다.” 이상철 한국연구재단 생명공학단장(54)은 3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나는 연구자, 다른 하나는 교수, 나머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