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원
정부
스페셜
"
정부위원
"(으)로 총 1,29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4.11
1993년에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이 수립된 뒤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규모는 급속도로 커졌다. 지난해 마무리 된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1단계’에 따르면 2006년에는 8,270억 원에 머물던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2010년에는 약 두 배인 1조5175억 원에 이를 정도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이시종 충청북도 도지사. 이 도지사는 충북이 우리나라 생명산업을 선도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바이오’에 대한 인식조차 없던 20여 년 전부터 충청북도는 생명공학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주목했습니다. ‘오송바이오 밸리’는 싱가포르 ‘바이오폴리스’, 미국 ‘몽고메리카운티’를 능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를 볼 것 같으면 기초연구쪽은 급성장했지만 산업화는 더뎠습니다. 결국 바이오 분야에서 우수 인력을 배출해도 갈 곳이 부족한 상황으로 이어져 바이오 산업 전체가 지체된 것이죠.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기존의 틀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성광(52·사진)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연구소는 기업을 도우라고 있는 겁니다. 민간기업이 직접 진행하기 어려운 값비싼 독성평가 연구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겠습니다. 기업들이 싼 값에 고품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 해 12월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안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큰 시장이 바이오헬스산업입니다. 국민의 건강주권 확보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죠. 우리의 강점인 IT분야를 활용하면 바이오헬스산업에서 세계적인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 차동형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의 신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을 다루다보니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바이오뱅크’라고 들어보셨어요?" 12일 오전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만난 김한겸(56) 병리학과 주임교수(인체유래검체거점센터장)는 처음 보자마자 질문을 던졌다. "미국에선 바이오뱅크 사업을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로 지정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죠. 유럽, 호주 등 생명과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진이 사이언스에 실은 논문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정작 논문 인용횟수는 늘지 않았다. 양으로만 평가하는 현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국내 바이오산업이 축포를 울릴 날은 멀다.”(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장) “국내 생명공학 학생들은 교수가 되기 위해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사람에게 목적을 맞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 될 때 진정한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선경 고려대 의대 흉부외과 교수(54)는 올해 4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스스로를 ‘칼잡이’로 소개한 그는 “국과위가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를 위촉한 것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생명공학 분야의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좁혀가기 위해 국내 생명공학 연구진의 인력과 전공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계속해서 확보해 나갈 생각입니다.” 5일 서울시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용석 생명복지조정과 과장은 릴레이 회의로 수척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지식재산 측면에서 연구수준을 평가한다면 연구가 얼마나 창의적인지, 결과를 지식재산화 했는가 두 측면에서 봐야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고충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장(LG전자 상무)는 지식재산이라는 측면에서 우리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