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행복"(으)로 총 1,4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2015.05.31
- 최소한 5차례 긍정적인 상호 작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책의 말미에 ‘행복한 뇌’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소개하며, 단 10초만 투자해 긍정적인 경험만 의식적으로 흡수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대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지식너머 제공 ■ 그레인 브레인 (데이비드 펄머터 著, ... ...
-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과학동아 l2015.05.28
- 충분히 행복하다고 상대를 착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송충이는 솔잎을 먹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논리다. 최근에 우리 사회에서 이 전략의 희생양이 된 것은 ‘여성’이다. 남자들은 본능적으로 여성을 경계한다. 예컨대 부인이 남편보다 더 소득이 높은 가정은 그렇지 않은 가정보다 부인과 남편 ... ...
- “과학기술전략본부, 국무총리 산하 배치해야”2015.05.21
-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하는 미래성장동력 일뿐만 아니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지켜주는 국가 핵심요소이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과학기술을 국정운영의 중심에 두고 어려운 경제여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창의형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국가들은 한결 ... ...
- 행복감 주는 식품 6가지, 프로바이오틱스 풍부한 그릭요거트-김치 외 또 무엇?동아닷컴 l2015.05.12
- 1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지수가 20% 정도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행복감 주는 식품. 사진 = 동아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4.30
- 정글에 갔던 날 비가 막 쏟아졌어요. 그런데 그날 정글의 다양한 동식물들을 보니 정말 행복하더라고요. 두 팔 벌려 비를 맞으면서 “I’m happy!”를 외쳤답니다. 최재천 원장님이 국내 개미 중 가장 좋아하는 가시개미. 등에 달린 뿔이 인상적이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4. 제 꿈은 고래 ... ...
- [미래를 듣는다 8] “사회 갈등 극복하려면 낮은 수준의 복지 해결해야”2015.04.28
- 노동자 규모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또 아동학업 스트레스 지수는 세계 1위이고, 국제 행복도는 143개국 중 118위입니다. 대졸자 취업률은 절반 정도인 56.2%, 대기업 CEO와 직원의 연봉격차는 143배나 됩니다. 한국 사회의 현상적 갈등을 잘 보여주는 지표들이죠.” 14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 ...
-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04.27
- 같은 ‘미래구분언어(Future languages)’는 현재와 미래를 끊임없이 구별해 미래보단 현재 행복에 충실하게 만든다고 봤다(즉, 저축을덜 한다). 실제로 그럴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34개국과 러시아를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국어 같은 ‘미래비구분언어’를 쓰는 13개국이 영어 ... ...
- 부모가 정서적 안정감 주면 ‘공부 근력’ 탄탄동아일보 l2015.04.23
- 것도 한 방법이다. 자녀에게 몰두해야 자녀가 잘된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부모 스스로 행복한 삶을 유지하는 편이 좋다. 이은택 기자 nabi@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 ...
- [미래를 듣는다 6] “사회 갈등 해결할 내적가치 찾아야”2015.04.20
- 정의와 같은 가치에서 나옵니다. 사람이 이런 내적 가치를 따라가면 강해지고 여유 있고 행복해질 수 있지요. ― 우리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과학기술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지금 과학기술 역시 외적가치에 맞춰져 있습니다. 경제 창출 등 자꾸 실용으로 치우쳐 ... ...
-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과학적 이유2015.04.19
- 복잡한 세상의 흐름을 억지로 따라가도 보니 스트레스를 받는다. 책에는 여러 가지 ‘행복공식’을 제공하지만, 결국은 몸이 원하는대로 살아가라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밥북 제공 ■ 만들어진 생각 (권성현 外 7인 著, 밥북 刊) 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모이면 무슨 이야기를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