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뉴스
"
종이
"(으)로 총 1,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이용하면 누구나 1시간 안에 세균의 종류와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침이나 소변 피 등을
종이
칩에 묻혀 기계 안에 넣고 기다리면 된다. 콘택트렌즈로 눈물을 분석해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송용원 책임연구원팀은 콘택트렌즈에 삽입할 수 있는 ... ...
가볍고 휘어도 OK… ‘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효율이 3배나 높아 고출력 전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 연구관은 “
종이
한 장으로 전극과 분리막을 구현한 새로운 개념의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을 뿐 아니라 나무 소재로 이용해 친환경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 ‘나노 ... ...
‘남극대구’ 게놈 최초 해독…동상-고지혈증 치료 청신호?
2014.09.26
처음이다. 남극 주변 바다는 평균 수온이 영하 1.9도로 낮지만 222종의 남극 고유 어류
종이
살고 있다. 남극대구는 이중 77%를 차지하는 대표 어종으로 영하 8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극저온성 어류로 구분된다. 이번 연구결과 남극대구는 약 100만 년 전 온대성 어류인 큰가시고기(Gasterosteus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할로란 미국 허치슨암연구센터 연구원은 “감염 병을 일으키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은
종이
다양한데다, 진화를 하니 장기적으로 연구해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압둘라 드짐디 영국 웰컴트러스트생어연구소 연구원은 아프리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을 ... ...
이순신 장군의 승리 비법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4.09.13
듯한 진법인 학익진에 담긴 수학을 살펴보기도 했다. 이날 학생들은 실제로 거북선을
종이
모형으로 만들어 보는 것으로 수업을 마무리했다. 대전에서 수학동아 클리닉에 참가하기 위해 올라온 윤재선(한밭초 5) 학생은 “무작정 싸우는 줄만 알았던 전쟁 곳곳에 수학이 들어 있어 신기했다”며,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이 딱!
2014.08.19
될 것”이라며 “4, 5년 안에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
종이
위에 나노 구조물을 쌓아 고감도 현장 진단형 바이오센서를 만들어 병원체나 유해물질을 즉석에서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 ...
전자제품 세대교체 오나… 금속기판에 차세대 소자 심었다
2014.08.11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해 디스플레이나 전자
종이
등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하지만 정작 그래핀을 활용하기 위해 전기기판 위로 옮기려고 하면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돼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한창수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펴지게 해 바퀴가 부풀도록 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취미나 예술 활동으로 여겨지던
종이
접기가 과학과 공학에 접목돼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갖춘 로봇이나 자동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중앙대 교수. - KIST 제공 반도체도 이제 네모 모양 틀에서 벗어나야 할 시대가 왔다.
종이
처럼 휘는 디스플레이와 벽에 바르는 태양전지 등 유연한 전자제품이 등장하면서 반도체도 여기에 맞처 변신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실리콘 소재 대신 플라스틱을 이용해 유연한 반도체를 ... ...
OLED TV, 값싸게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7.28
종이
처럼 얇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TV나 컴퓨터 모니터를 만들 수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값싸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국내 기업의 차세대 TV 시장 선점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사팀은 저렴한 가격으로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