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뉴스
"
종이
"(으)로 총 1,3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그림을 그리는 법을 배웠다. 카메라루시다는 프리즘과 거울을 써서 대상의 이미지를
종이
에 비추는 장치다. 자일리허는 그 뒤 카메라루시다를 써서 그린 아름다운 화석 그림 수천 점을 남겼다. 자일라허가 카메라루시다를 써서 직접 그린 삼엽충과 그 이동흔적인 생흔화석을 묘사한 그림. - ... ...
‘살인진드기’ 전멸시키는 물질 드디어 발견
2014.12.18
추출물을 솜에 묻혀 살인진드기를 가둔 공간에 훈증시키거나 살인진드기가 포진한
종이
에 발라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살인진드기가 전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작고 투명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집먼지진드기는 이 추출물에 노출되자 몸이 검게 변하면서 죽었다. 기존 화학 ... ...
“여기는 남극 장보고기지, 우주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2014.12.05
6개를 얻었다. 남극에서 눈 53kg을 채집한 뒤 연구소로 가지고 와 격자 간격이 10μm
종이
필터 위에서 5개월간 서서히 녹였다. 필터에 걸러진 알갱이를 주사전자현미경(SEM)로 선별하고 전자현미분석기(EMPA)으로 분석해 규소, 알루미늄 등 지구에서 유래한 물질은 제거하고 우주먼지만 걸러냈다. 이 ... ...
뉴욕시 거리 쓰레기 처리 일등공신은 개미?
2014.12.02
연구진의 가정과는 다른 결과다. 연구진은 음식물을 많이 먹는 ‘도로 개미’라는
종이
공원보다 거리에 많이 사는 것이 이유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영스태드 박사는 “곤충이 거리에 버려진 음식쓰레기를 처리해 줄 뿐 아니라 비둘기와 쥐 같은 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고 말했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반응하지 않았던 것. 결국 이 뉴런은 스스로 행동하거나 자신과 같은 종 또는 비슷한
종이
행동하는 걸 볼 때는 작동하지만 무생물이 같은 동작을 할 때는 꺼져있었다. 리촐라티 박사는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브레인’에 이 결과를 실으며 이 뉴런을 ‘거울 뉴런’이라고 불렀다. 타인의 행동을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전달한다. 최 연구원은 “맨 뒤의 볼록렌즈와 바로 앞 볼록렌즈 사이의 중심부에 모눈
종이
의 상이 맺히도록 렌즈 4개의 배율과 간격을 조정하는 게 핵심”이라며 “상이 맺히는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는 어떤 물체를 갖다 놔도 투명한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원리 때문에 ... ...
‘신이 내린 몸매’는 누가 만드나
2014.11.10
minuta)’
종이
많이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과체중인 사람에게서는 이 미생물
종이
잘 발견되지 않았다. iStockphoto 제공 연구팀이 실제로 쥐에게 이 미생물을 이식했더니 쥐의 체중 증가량 역시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심지어 이 미생물의 분포에 유전적 요소가 관여한다는 ... ...
종이
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스마트 시트의 구성 성분에 변화를 주면 변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동안
종이
접기 로봇은 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이용해 만들었다. 하지만 형상기억합금은 금속인 만큼, 몸속에 넣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 로봇의 소재인 하이드로겔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나준희 ... ...
젊은 뇌는 빨개요
2014.11.02
것이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차곡차곡 쌓인
종이
가 실렸다.
종이
는 지금까지 발표돼 ‘웹 오브 사이언스’에 등록된 논문을 의미한다. 이들 논문을 모두 출력해 순서대로 쌓으면 그 높이가 무려 5km를 훌쩍 넘는다. 표지에는 ‘100’이라는 숫자가 표시돼 있다. 숫자대로 ... ...
[이주의 과학 신간]돈 만드는 나무를 아시나요? 外
2014.10.26
쓰였다. 하지만 주로 따뜻한 남쪽지역에서 살기 때문에 서울의 추운 겨울은 견디기 힘든
종이
라고 한다. 기후에 맞지도 않는 식물을 억지로 옮겨온 것이 달콤한 향기를 곁에 두려는 욕심은 아니었는지 돌아보게 된다. 동연 제공 ◆아인슈타인 하우스 (권오대 著, 동연 刊) 아인슈타인처럼 많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