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5년까지 레이저의 출력을 10PW로 높이고 이후에는 엑사와트(EW, 1EW=1018W)까지 끌어올려 우주
초기
연구를 진행하겠다는 ‘ELI(Extreme Light Infrastructure)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미시세계 파헤치는 초스피드 레이저현재 APRI에서 만드는 고출력 레이저는 펄스 레이저다. 펄스가 반짝하는 시간, 즉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촬영한다.리히트만 교수는 오래전부터 신경계 발달 과정을 연구하며 포유류의 출생
초기
신경세포와 힘줄의 연결망에 대한 연구를 해다. 그는 “어린 포유류의 뇌 연결망이 성인의 것보다 더 복잡하다”며 “신경세포와 근육의 힘줄은 어떤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뇌 연결망이 열려 있지만,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라는 호기심이었다고 말한다. 리보솜 연구
초기
에 당시 바이츠만연구소 소장이었던 마이클 셀라는 요나트 박사가 대단한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많은 돈을 지원해야 한다고 키멜만 가문을 설득해 엄청난 후원을 이끌어냈다고 한다.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세차운동으로 인한 천구의 이동을 확인했다. 특히 이 혼상은 충북대 이용삼 교수가 조선
초기
에 평면에 그려진 성도를 기초로 전통별자리를 구면상에 복원한 것인데, 전통시대의 별자리 체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 소장된 조선시대 우암 송시열이 사용한 혼천의의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어서
초기
에만 체중이 감소한다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비만 치료 약물이
초기
에 체중을 감량하고 이후에는 체중이 유지되도록 설계된 것을 감안하면 내성을 나타낸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리덕틸과 제니칼 모두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금단현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미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빛에 대한 성질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이 바로 메타물질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다. 그리고 그는 1999년 이 아이디어를 논문으로 발표했다.2000년대에 들어서자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도로 메타물질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과학자들도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헬륨, 네온 기체를 전기 방전시키는 방안을 좇았다. 숄로는 광학 메이저를 구상하던
초기
에 루비(Al2O3)를 매질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으나 이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포기했다. 굴드는 TRG에서 칼륨 증기로 실험을 계속했지만 1960년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미국 유수의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본격적으로 복잡한 고등 생명체가 등장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시아노박테리아는
초기
생명체에 대한 고생물학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로 대우 받는다. 샤크 만은 바닷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좁아서 먼 바다보다 바닷물의 염도가 2배 이상 높고 물고기나 해조류를 찾아보기 힘들다.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부에서 이 폐기물을 완전히 분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생물연료전지를 연구했다.
초기
미생물연료전지는 효율이 매우 낮았는데, 이는 세포 안에서 연료를 산화시켜 얻은 전자를 효율적으로 전극에 전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70~1980년대 과학자들은 미생물과 전극(음극) 사이에 전자전달을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나노과학을 공학에 응용시키는 것을 배운다.
초기
대학원은 나노협동과정에서 시작됐고 융합대학원이 만들어지면서 나노융합학과로 발전했다. 즉 기본적인 필수 과목을 배운 후에 자신이 택한 주 응용분야와 나노분야를 융합하는 응용 학문을 배우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