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뜻이다.매일 전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나노기술의 활용분야 만큼이나 나노기술의 종류도 광범위하지만 근본 원리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깎기와 쌓기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알면 나노기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다른)새로운 물리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예를들어 힉스가 가볍지 않다거나, 여러 종류가 있다거나. 아직 가능성이 열려있다.Q 입자물리학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초대칭성을 찾으려 했지만 발견하지 못했다던데, 설명해 달라버틀러: 초대칭성은 힉스 입자의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가설 중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가운데는 꽃을 피우지 않고 원시적인 씨앗이라 할 수 있는 ‘포자’를 만들어 번식하는 종류도 있어요. 이런 식물을 ‘포자식물’이라고 하는데, 이끼류가 속한 ‘선태식물’과 고사리 등의 ‘양치식물’이 대표적이지요.우산이끼는 선태식물 가운데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식물로 그 생김새가 매우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제프리 긴즈버그 박사팀은 콧물 속의 특정 단백질을 이용하면,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고 ‘e바이오메디슨’ 2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임의로 선택한 단백질 438개, 펩타이드 3285개의 데이터와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독감에 걸린 환자, 리노바이러스에 감염된 감기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누룩곰팡이가 들어 있다. 전통누룩에서 발굴한 곰팡이가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한 종류만 살고 있어 전통누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선임연구원은 “진짜 전통누룩을 만들려면 여러 미생물을 일정한 배합으로 길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맛있는 술을 만드는 미생물의 ‘꿀’ 조합을 알아내고, 이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않는다. 즉, 환경이 복잡해서 포식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 단순히 포식자 종류만 경고해서는 포식자를 잘 피할 수 없는 것이다.아프리카 코뿔새는 독수리 경보음을 훔쳐 듣는다이런 소리신호는 심지어 다른 종과도 서로 통용된다. 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 연구팀은 2004년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첫 단추는 데이터 수집이다. 적·녹·청색 가시광선과 형광, 적외선, 다중분광, 3D 등 5가지 종류의 특징을 가진 카메라로 식물의 생장과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해 얻은 이미지를 데이터화한다. 임교수는 “사람 몸의 내부 상태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진단하는 것처럼, 식물에 상처를 내지 않고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상상하지 못했던, 두 물리학이 통합되는 현장에 서게 됐다.키타예프 주기율표에서는 세 종류의 불연속변환에 대해 1차원부터 모든 차원에서 대칭성을 기준으로 물질(최소 단위 행렬)을 분류할 수 있다(74쪽 박스 기사 참고). 시간(T)과 전하(C), 비대칭 반전(S)에 대해서 최소 단위 행렬은 각각 대칭성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두근두근 비밀 편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원추세포는 눈 속에서 빛을 감지하는 세포예요. L 원추세포, M 원추세포, S 원추세포 세 종류로 이뤄져 있고, 각자 다른 색에 반응을 한답니다. L 원추세포는 붉은색과 노란색, M 원추세포는 초록색과 파란색, S 원추세포는 파란색과 보라색에 반응하지요. 색에 따라 반응하는 원추세포의 비율이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온·습도, 풍속 같은 기후 요인뿐만 아니라, 산의 경사도, 산에 서식하는 식물의 종류, 마른 낙엽의 양, 나무들의 가지가 뻗은 높이, 나무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산불의 양상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불이 발생할 위험이 큰 지역을 선별한다.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