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프로젝트]
이상
한 분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미지(❷)로 바뀌는 것이었습니다. 새로운 탐침을 사용해도 이런 현상이 반복됐습니다.
이상
하게 생각한 연구팀은 이 현상을 깊이 파고들었고, 곧 원인을 알아냈습니다. 범인은 바로 흡착된 철 원자였습니다. 두 그림을 보면 철 원자의 개수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합에 참여하지 못한 ... ...
[기후위기 연중기획] 자동차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엔진 자동차의 생산 및 판매를 전 세계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 현재 GM의 매출 가운데 95%
이상
이 내연기관차에서 나오는데 전기차 중심으로 과감히 사업을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GM은 배터리 기술 연구개발(R&D) 등에 앞으로 5년간 270억 달러(약 30조 456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독일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역사가 길지 않아 자생식물의 그림 기록 또한 적다. 마침 수목원에서는 국내 산림의 40%
이상
을 차지하는 구과식물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었고, 나는 이 그림을 그렸다. 매일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등 거대한 나무를 찾아가 채집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해 4년간 40여 종의 그림 기록을 완성했다. 이 ... ...
확률│자가검사키트 결과 믿어도 될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양을 늘려 병에 걸렸는지 확인하는 방법이에요. 바이러스의 유전자 양이 일정 수준
이상
이면 감염된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걸리지 않았다고 판단해요.다른 방법은 몸 속에 침입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을 이용한 ‘신속 항원검사’예요. 약국이나 마트 등에서 살 수 있는 코로나19 ... ...
코로나19 백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코로나19 백신은 왜 두 번 맞아야 하나요?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대부분의 백신이 2번
이상
접종해요. 한 번 접종할 때에 비해 더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이끌 수 있기 때문이에요. 2021년 3월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중 한 가지를 접종한 사람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회 ... ...
[특집] OX퀴즈! 겨울잠, 얼마나 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겨울잠이 있는지 OX 퀴즈로 알아볼까? 1. 겨울잠을 1년
이상
자는 동물도 있다?호주 남동부에 사는 동부피그미주머니쥐는 겨울잠 분야의 챔피언이에요. 동부피그미주머니쥐는 몸무게 15~43g에 몸길이 7~9cm로 아주 작은 유대류*예요. 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의 생물학자 프리츠 ...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과정을 거쳤지만,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부품이 필요할 때가 있기 때문에 늘 필요
이상
으로 챙겼다. 그는 “가져간 부품이 요긴하게 쓰였을 때는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이 기뻤다”며 “각지고 무거운 짐들 덕에 짐가방은 늘 수명을 한참 채우지 못하고 망가졌다”라고 말했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토착종은 수만 년
이상
을 한반도에서 살아온 생물로 20년은 새로운 생물이 일으킨 변화에 적응하거나 대응하기에 아주 짧은 시간”이라며 “황소개구리 수가 줄었다는 보도도 있지만 전국 곳곳에서 수생태계에 미치는 피해는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가 된다. 약 6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오로린 투게넨시스는 지금까지 12개
이상
의 화석이 발견됐고, 그중에는 대퇴골 화석도 포함돼 있다.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보다 호미닌에 속한다는 증거가 더욱 풍부하다.카르발료 교수는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호미닌에 속한다는 사실을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