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구한다. 5. 수많은 미지수와 데이터를 다루는 AI의 연립방정식➊ LU 분해법미지수가 3개 이상일 때 컴퓨터가 연립일차방정식을 푸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L은 Lower를, U는 Upper를 의미합니다. 먼저 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로 변환한 뒤, 미지수의 계수 행렬을 두 행렬로 쪼개죠. 그 뒤에 일련의 과정을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드 페르마는 1637년 고대 그리스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책 ‘산법’의 여백에 ‘n이 3 이상의 정수일 때, 을 만족하는 정수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적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알려진 이 문제는 단순하게 생긴 모양 때문에 당시 많은 사람이 도전하곤 했다. 독일의 천재 수학자 카를 ...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부분이 나타났다. 처음엔 논증 순서를 꼼꼼히 따져 바로잡으면 쉽게 해결될 것 같았는데, 이상하게도 이리저리 바꿔가며 논리를 전개해봐도 계속 틀어지는 부분이 생겼다. 분명히 내가 놓치는 부분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 기하학적 부분을 검토하며 원인을 찾기 시작했다.그동안 어딘가 연구가 ...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불리는 닥터헬기지요. 닥터헬기로 이동하면 차로 이동할 때보다 약 1시간 30분 이상 시간을 줄일 수 있어요. ●인터뷰 - 1분 1초가 중요한 환자 살리는 권역외상센터(조현민 제주권역외상센터장) Q. 권역외상센터를 소개해 주세요. A. 권역외상센터는 365일 24시간 언제라도 생명이 위험한 외상 ... ...
- [특집] 동물들의 겨울잠이 방해받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보통 12월 말부터 다음 해 3월 말까지 대부분 사람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는 평균 900m 이상의 고지대 능선 지역에서 겨울잠에 들어요. 주로 바위틈이나 굴, 나무 구멍, 그루터기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흙 굴을 파기도 하고, 심지어는 맨땅에 곰탱이*를 만들어 겨울을 나기도 해요.저희는 인간의 침입을 ... ...
- [가상 인터뷰] 거미줄 도르래로 무거운 것도 거뜬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1cm도 되지 않는 별무늬꼬마거미가 거미줄로 20cm에 달하는 유럽벽도마뱀을 공중에 10cm 이상 들어 올리는 모습을 관찰했어. 이뿐만 아니라 바퀴벌레, 달팽이 껍질, 생쥐, 뱀 등 우리보다 덩치가 크고 무거운 먹이들도 거뜬하지.대단해! 무거운 먹이를 드는 비결이 뭐야?니콜라 푸뇨 교수 연구팀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쓸데없지만 멋져! 레모네이드 골드버그 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걸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할 땐 신선함에 입이 떡 벌어질 거예요. “어제 나는 이상한 옷을 입은 남자를 만났단다. 이 퍼즐을 30년 동안 풀었다며 미래에서 찾아온 너였어. - 할아버지가.”영상은 할아버지가 보낸 편지로 시작합니다. 편지는 약 2000만 원에 달한다는 퍼즐박스의 세계관을 담고 ...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있다.이번 연구결과가 과학적 발견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5 시그마 이상을 달성해야 한다. LHC 뮤온압축솔레노이드(CMS) 검출기를 이용해 입자물리학 연구를 진행 중인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앞선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값과 이번 B중간자 붕괴 실험값이 둘 다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현 테라젠바이오) 등 공동연구팀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13~16세 국내 비만 청소년 67명과 BMI가 25 미만인 비만이 아닌 청소년 67명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대변 시료에서 미생물의 유전체만 쉽게 동정할 수 있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법과 빅데이터 분석법을 ...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위에서는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의 조합을 통해 어떤 지점으로도 갈 수 있지요. 그럼 2차원 이상에서의 격자라면 어떨까요?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가는 경로의 가짓수가 더 많아져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어려워지죠. 로바스 교수는 이처럼 복잡한 격자 문제 중 하나의 답을 얻을 수 있는 LLL 알고리듬을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