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스피드 레이서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스피드는 이런 자동차의 원리를 그대로 반영한 게임이에요.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이런 원리를 알고 코너를 돌아야 하지요. 차량에 리드 윙을 달고 경주를 시작했어요. 어느덧 코너 진입을 앞두고 있네요. 브레이크 밟아 속도를 살짝 줄이고 핸들을 돌렸어요. 다행히 제대로 코너를 돌았네요. ...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특징이 없어 보이던 부품들을 본인이 직접 짠 코드로 작동하게 만들면서 학생들은 작동 원리를 더 자연스럽게 습득했다. 또한, 중간 과정에 문제가 생겨도 처음부터 본인이 참여했기 때문에 해결 방법도 금방 찾을 수 있었다. 둔촌고 2학년 이진형 군은 “내가 주도적으로 해서 더 재밌고, 배울 수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할데인 대신 해밀턴의 손을 흔쾌히 들어주었다!할데인이 해밀턴보다 먼저 혈연 선택의 원리를 이해한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그 아이디어의 소유권은 마땅히 해밀턴에 돌아가야 함을 나는 전혀 의심치 않는다. 과학의 핵심은 어떤 아이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해보다는, 그 아이디어가 지닌 함의를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숙의(熟議)를 배제하는 뉴로폴리틱스가 물론 최선의 정치제도는 아닐 거다. 하지만 그런 원리들이 지금이라고 작동하고 있는가. 내가 센서스 코무니스에 대해 이야기한들 누가 이런 황당한 이야기를 믿어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그러면서 나는 내가 자꾸 변명을 발명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간의 생각을 뒤집는 발견이었다.페아노 곡선은 최근 신소재를 만드는 데 핵심 원리로 쓰였다. 신종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를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한 것이다. 금속을 왼쪽 그림처럼 위아래로 엇갈리게 배열해 굴절률을 높였다. 페아노 곡선을 이용해 더 촘촘히 채워 넣었고, 결과적으로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풀다사울리스 교수와 코스털리츠 교수는 위상수학을 이용해 2차원 물질의 상태가 바뀌는 원리를 밝혔다. 둘의 이름에서 알파벳을 따 이 현상을 ‘KT상전이’라고 부른다. 여기에 위상수학이 어떻게 쓰였다는 걸까?2차원 평면에는 전자의 스핀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소용돌이’가 있다. 이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원리만 알면 정말 쉽게 만들 수 있는 물건, 공기청정기 ‘파이에어’다. 공기청정기의 원리는 간단하다. 오염도를 확인하고, 오염도가 높으면 팬을 가동한다. 그럼 필터에 먼지가 붙는다.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많았던 박 대표는 대시보드를 추가로 달았다. 여기에 서울시 지도를 띄우고, 지역별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이 바꿀 수 있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점, 선, 면의 내용을 확장해 실생활에서도 수학의 원리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만든 수업이다.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문제 해결 능력까지 키울 수 있다. 다양한 ... ...
- [News & Issue] 맛=감각+영양+추억!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 뇌 속에 음식의 맛을 평가하는 감정단이 있다면, 성격이 아주 까다로울 것이다. 웬만큼 잘해서는 그냥 불합격이다. 한 과목만 잘해선 안 되고, 한 과목을 조금 못해도 종합점수가 높으면 맛있다고 평가한다. 또, 전체점수가 기준선을 넘으면 엄청난 가산점을 주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느끼는 맛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의학에서 근육과 관련한 질환을 진단하거나 근육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인다.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팔의 남아 있는 부위와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 신경세포가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