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리튬이온이 양전극에 잡혀 전해질과 음전극으로 들어가는 양이 많을수록 용량이 커지는 원리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금속재료과학과 바센트 쿠머 교수팀은 기존 ‘리튬-황’ 화합물로 만든 배터리를 사용하면 재충전할 때 전자를 포획하는 능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충전과 방전을 ...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감칠맛=글루탐산 맛!단백질은 물 다음으로 우리 몸에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혀의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한다. 맛 수용체는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ex. 글루탐산)을 느낄 수 있다. 끓이거나 발효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지작용이에요. 뿌리의 또 다른 기능은 ‘흡수작용’이에요. 물과 양분이 ‘삼투압’의 원리에 의해 뿌리로 흡수되거든요. 삼투압은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 놓았을 때 생기는 압력의 차이를 말해요. 두 액체는 평형을 이루려고 하기 때문에 농도가 낮은 쪽의 물이 높은 쪽으로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조절해서 바꿀 수 있다.반대로 어두운 밤이 되면 방 안에 불이 켜져야 한다. 위와 같은 원리로 ‘밤이 되면 방 안의 불이 켜진다’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센서에서 나오는 빛을 손으로 가렸을 때 컴퓨터 속 캐릭터의 방에는 불이 켜진다. 그러면 캐릭터는 침대로 가서 눕는다.수업을 맡은 손경호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감염자가 복용하는 대표적인 치료제로, 면역세포수치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게 막는다. 원리는 이렇다. HIV가 인체의 면역세포에 침투하면 자신의 RNA 정보를 이용해 DNA를 합성한뒤, 사람의 DNA에 끼어 들어간다. 이렇게 RNA가 DNA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전사라고 하는데, HIV가 갖고 있는 역전사 효소가 이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가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 ... 우주가 한쪽 방향으로 특이한 진화를 한다는 것은 현대 과학이 기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리를 흔드는 발견일 것이다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물끄러미 바라보았다.“어떻습니까?”“재미있네요. 원리가 어떻게 되는 거죠?”“원리는 간단해요. 이를테면, 텍스트 기반 인터넷은 정보를 요하죠. IP, 주소, 주민등록번호. 그건 간단히 빼낼 수 있고요. VR넷에서 아바타를 움직이려면 뇌파 신호 전체를 제공해야 해요. 그 신호를 다른 사람에게 쏴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문양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GIB 1. 대상 : 대칭의 원리를 이용해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보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 *준비물 : 양면 색종이, 연필, 칼, 컴퍼스, 자3. 수업 목표 ① 생활 속에서 대칭이 어디에 있는지 2가지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관성력 등 여러 힘의 영향을 받지만 게임에서는 중력만 있다고 가정해요.이런 중력의 원리를 게임에서 쉽게 구현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중력을 커지게 만들어요. 점점 커지는 중력값을 이용해서 새의 낙하 속도를 점점 더 빠르게 만드는 거지요. 이때 게임 플레이어가 화면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외로운 숫자라는 뜻의 한자어 ‘수독(數獨)’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스도쿠의 원리는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마방진’에서 유래했습니다. 가로와 세로를 4칸, 6칸, 9칸 등으로 조절해 다양하게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스도쿠와 비슷한 논리로 해결하는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