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전염병 확산 모형으로 예측한 홍수의 진행 방향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길, 감염군인 I는 완전히 물이 차서 다닐 수 없는 길, 회복군인 R은 물이 찼다가 빠진 길로 보고, 각 도로에서 홍수가 일어날 수 있는 취약도를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모형으로 2017년 허리케인 ‘하비’가 미국 텍사스주 해리스 카운티 지역을 휩쓸었던 그 당시 홍수 데이터를 검증했습니다. 그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꾸 아는 문제를 틀린다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겁니다. 시험을 보는 긴장된 상황에서 사람은 감정에 쉽게 휘둘립니다. 그래서 첫인상을 보고 사람을 판단하듯 문제를 보는 순간 그 문제가 쉬운지 어려운지, 내가 풀 수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 버리기도 하죠. 하지만 이는 무엇보다 이성적이어야 할 시험 상황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사람에 대한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행동을 따라 하기 위한 명령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거든. 그래서 연구팀은 개의 행동을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내게 적용했어.스스로 학습했다고? 어떻게 한 거야?연구팀은 개의 행동이 담긴 짧은 영상 2억여 개를 준비했어. 그리고 라이카고에게 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보여줘야 하는 수학 로그지만, 리버풀 FC(이하 리버풀)가 30년 만에 우승하는 대참사를 보고 나니 차마 축구 이야기를 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번엔 1인칭 시점에 정말 충실하달까요? 2019-20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이하 EPL)에는 어떤 재밌는 일들이 있었는지 축구 덕후 수학자와 함께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두 펭귄 마을을 비롯한 남극 전역의 펭귄 군락을 우주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펭귄의 붉은색 배설물을 찾아서펭귄 서식지에는 특별한 흔적이 있다. 바로 붉은색 배설물이다. 펭귄이 주로 먹는 크릴에 포함된 붉은 색소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은 펭귄의 배설물에도 섞여 나온다. 특히 펭귄이 알을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때였습니다. 2010년쯤일 거예요. 그때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Genie)’ 뮤직비디오를 보고 K팝의 음악, 춤, 영상기술, 영상미에 사로잡혔습니다. K팝 아이돌의 겸손하면서도 항상 열정적인 모습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어요. 그때부터 K팝은 제 삶의 행복과 영감의 원천이 됐습니다. Q 그럼 ‘최애’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깊게 봐야 하는 이유다. 한국SF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저자가 쓴 ‘미래에서 온 외계인 보고서’는 곧 현실로 닥쳐올 SF 속 과학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우주여행과 냉동인간, 외계인에 이르기까지 조만간 실현될 SF 속 설정들을 소개하며, 그 이면에 숨은 과학 원리나 그와 관련된 과학계의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도움을 받아 산호를 식별하는 훈련을 반복하면, 훗날 위성 등이 찍은 저화질의 이미지를 보고도 산호를 식별할 수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호 파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찾아내고 피해를 줄일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있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더욱 광안대교에 가고 싶어졌어요! 여러분은 어느 다리를 가보고 싶나요? 아니면 직접 봤던 다리 중 어떤 다리가 기억에 남나요? 직접 만들어서 제게 보내주세요! 여러분의 작품을 보며 대리 여행을 떠나보게요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모방한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예요. 사람은 사진 속 강아지의 귀, 꼬리, 털 등의 특징을 보고 강아지라고 판단하잖아요. 합성곱 신경망 역시 전체 이미지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특징을 통해 어떤 사진인지 판단해요. 합성곱 신경망이 어떻게 제 팔꿈치를 찾는지 그 원리를 설명해볼게요.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