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쿨리포트 A+] 직접 할 수 없는 과학 실험, 가상 탐구 포스터 제작하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더 중요한 것은 탐구 과정과 결론의 타당성이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겁니다. 포스터를 보고 해당 조의 가상 탐구 활동을 떠올려 볼 수 있을 정도로 탐구 과정을 간결하게 서술해야 합니다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동호회, 드라마, 쇼핑 독일어 노출 늘리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습득하는 데 왕도는 없다. 시간과 노력을 다 쏟아부어야 하고 반복해야 한다. 많이 써보고, 많이 틀리고, 그때그때 실수를 고쳐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유창한 독일어로 농담을 하고 있는 스스로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좀 전에 멧돼지 사령관이 말한 전략 ➍번을 사용한 거야. 그렇게 찾은 지뢰의 위치를 보고 지뢰가 절대 있을 수 없는 곳을 파악하지. 1 주변의 8칸에 이미 지뢰가 하나 있다면 나머지 7칸에는 지뢰가 없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거야. 이 정도의 과정만을 사용해 알고리듬을 만들어도 크기가 9×9인 ... ...
- 전세계 지뢰찾기 히어로즈, 모두 모여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히어로즈를 모두 모아서 P 대 NP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보자. 크엉!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을 요청할게요! 수학동아 친구들이 지뢰찾기를 좋아한다는 소식을 들었거든요. 멋진 수학자가 돼 P 대 NP 문제를 해결하면 더 좋겠지만, 당장 우리가 지뢰를 잘 찾을 수 있도록 ... ...
- [수학뉴스] 전염병 확산 모형으로 예측한 홍수의 진행 방향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길, 감염군인 I는 완전히 물이 차서 다닐 수 없는 길, 회복군인 R은 물이 찼다가 빠진 길로 보고, 각 도로에서 홍수가 일어날 수 있는 취약도를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모형으로 2017년 허리케인 ‘하비’가 미국 텍사스주 해리스 카운티 지역을 휩쓸었던 그 당시 홍수 데이터를 검증했습니다. 그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합=d(220)=284, 284의 진약수 합=d(284)=220이 성립합니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이러한 성질을 보고 쌍을 이루는 220과 284를 ‘친한 사이’라고 봤습니다. 그러고는 그 둘에 친화수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를 적은 부적을 가지고 다니면 친구 사이의 우정이 보장된다고 믿었죠. 이 개념은 후대까지 전해지면서 ... ...
- [과학뉴스] 남극대륙에서 4000만 년 전 개구리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4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도 이 개구리의 현재 서식지와 비슷한 기후 조건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지요. 연구팀은 “4000만 년 전의 남극대륙은 적어도 파충류, 양서류 같은 동물에게 적합한 서식지였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개구리 화석을 분석해 당시 남극대륙의 기후를 추정하고, 고대 기후에 ... ...
-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띵동~! 어과동 과학 교실에 온 걸 환영해요. 첫 번째 시간은 과학 개념 시간이에요. 1교시에 소개할 선생님들은 과학 개념을 만화로, 영상 ... 학생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소통하고 싶었어요. 만약, 구독자 수가 늘면 라이브 방송도 해보고 싶어요. 어과동 친구들도 채널에 놀러 오세요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키를 생각해보자. 필자의 키는 5피트7인치(약 170cm)다. 이 키만 보고 필자의 성별을 맞출 수 있겠는가? 뇌는 키보다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훨씬 작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신경과학자인 다프나 조엘과 동료 연구자들은 1400명(13~85세) 이상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 ...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걸 말합니다. 그러면 소비자는 가상 피팅 서비스를 이용해 AI가 디자인한 옷들을 입어보고 가장 선호하는 옷을 고르고, 3차원 패션 디자인 플랫폼이 소비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에 따라 실제로 옷을 디자인하고 로봇이 제품을 만든 뒤 집으로 배송해주는 거죠. 가까운 미래에는 스스로도 깨닫지 못하는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