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04
지방조직에 지방을 축적시킴으로써 비만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4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결과는 공생세균과 같은 환경요인이 숙주의 에너지 저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사례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또한 연구팀은 비만생쥐와 정상생쥐의 공생세균의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잘날라 운송이랍니다. 목재가 툭~ 부러졌다고요?2006년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열린‘리히터와 펭크’전에 전시된 목조 작품입니다. 해외에서 운송 중 작품의 연결 부분이 떨어져 버렸죠. 이 때 독일인 전문가와 협의해 한국에서 작품을 복원했답니다.목재 등 가볍고 약한 부분을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03
세계적으로 귀한 생물자원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서식지가 개발 위험이 비교적 적은
국립
공원이나 도립공원 등지에 주로 분포하지만 이들의 개체수가 다른 도롱뇽집단들에 비해 적은 수로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 희귀성과 생물학적 가치를 본다면 당연히 보호대상종이나 천연기념물로 선정해야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은주 양은 고 교수의 초대로 두 번의 값진 경험을 했다. 5월에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국립
수산과학원의 연구선인 ‘탐구1호’를 타고 항해하는 해양선상캠프에 참가했다. 심해에서 끌어올린 물을 손으로 만지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느꼈다. 해저 밑바닥의 진흙을 ... ...
당뇨가 기억력 떨어뜨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3
걸리면 기억력이 나빠지는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국립
보건원 마크 맷슨 박사팀은 당뇨병에 걸리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해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그동안 당뇨에 걸린 사람들에게 기억력이 나빠지는 현상이 종종 나타났지만 그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03
뚜렷하다. 그런데 거울뉴런이 발견된 부위가 바로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이다. 대만
국립
양민대 흐시에흐 옌추엔 교수팀은 2006년 ‘뉴로리포트’에 여성의 거울뉴런이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결국 거울뉴런은 뇌의 영역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셈이다.모방은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03
가설이 점차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지켜보던 우스 교수는 1990년 역시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발표한 논문에서 좀 더 다듬어진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원계 대신 영역(domain)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다. 우스 교수는 “분자 구조와 서열은 고전적인 표현형보다 진화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03
하는 단백질의 일부(단백질상호작용 도메인)인 ‘사라’(SARAH)의 3차원구조를 밝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사라는 무도회에서 파트너를 바꿀 때 뻗는 팔에 해당한다.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인 ‘Mst1’은 사라와 쌍으로 결합했다가 헤어진 뒤 팔(사라) 하나를 뻗어 사라와 비슷한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세 면이 모두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야. 약 120개의 섬도 속해 있고, 한국에 유일한 해안
국립
공원도 있는 곳이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복잡해.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보다 길어. 특히 갯벌,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이 잘 발달돼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02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
국립
보건연구원(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