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
꼭 필요하답니다. 친구들도 바다에 나가면 눈을 크게 뜨고 고래를 찾아보세요!" 안용락(
국립
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수산연구사)향고래 소식 인간은 내 친구향고래몸길이 18m, 몸무게 57톤으로 이빨고래류 중 가장 크다. 깊은 바다에서 살며 동물 중 몸길이에 비해 머리 비율이 가장 크다. 난 네모난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07
부리가 좁고 많이 벌어지지 않는다면 벌레를 놓치기 쉬울 것이다. 조류학자인
국립
환경과학원 박진영 박사는 “제비의 부리는 옆에서 보면 짧지만 정면에서 보면 넓적하게 생겼고 크게 벌릴 수 있어 벌레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며 “부리 옆에는 빳빳한 털이 나있어 비행 중에 여기에 걸린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7
프로젝트’팀에는 사상의학에 푹 빠진 베트남 의사가 한 명 있다. 베트남
국립
하노이의대를 졸업한 팜 죽 주옹 박사다. 그는 사상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지난 3월 한국 유학길에 올랐다.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김종열 박사가 그의 지도교수다.베트남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
“빠가빠가~.”오늘도 어김없이 들리는 이상한 소리에 잠을 이룰 수 없는 나소심 군. 집 뒤를 흐르는 강에서 언제부턴가 이상한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소심하기로는 세계 일등인 나소심 군이라 이렇게 두려움에 떨며 잠을 못 이루다간 병이 날 것 같다. 오늘 밤엔 기필코 소리의 정체를 밝혀 내리 ... ...
물 속과 물 밖, 양쪽에 알 낳는 개구리 발견
과학동아
l
200807
Dendropsophus ebraccatus, 아래 사진)가 물 속에도 알을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19일자에 발표했다.타우천 박사팀은 광대청개구리의 주 서식지인 파나마에 있는 연못 세 곳을 조사했다. 그 결과 그늘진 두 곳에 사는 개구리들은 연못가에 사는 식물 위에 알을 낳는 반면,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06
아프리카 대륙 동쪽 인도양 한가운데에 있는 섬 마다가스카르. 이 섬은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이지만, 지구상에 있는 5개 대륙과 남극대륙에 이어 ‘제7의 대륙’이라고 불린다. 그 이유는 세계 어떤 곳에서도 볼 수 없는 특이한 생물이 마다가스카르에 많이 살기 때문이다.약 1억 6000만 년 전 아프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산발성 CJD 같은 질병에 걸린 사람의 뇌를 먹어 발생했다고 추측했다. 실제로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3월 3일자에는 쿠루를 일으킨 프리온이 산발성 CJD의 프리온과 가장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1980년대 중반 광우병이 처음 보고되고 약 10년 뒤에 인간 광우병이 발생했다. 소의 변형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많다. 그러니 온도가 높아지면 한지성 나비가 북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최근
국립
산림과학원 권태성 박사와 나비학자 김성수 선생은 과거 자료가 있는 광릉(1950년대)과 파주 고령산(1970년대)의 나비를 조사해 이런 경향을 확인했다. 즉 과거에 비해 종별 밀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5종 가운데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남은 것.* 아기 매머드 디마와 다양한 거대 동물의 화석을 2008년 3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국립
서울과학관에서 열리는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숨어도, 숨어도 다 보여!10000BC의 거대 동물은 땅 속에 숨어 있는 화석 말고 다른 것을 통해서도 연구할 수 있답니다. 그 중 첫 ... ...
“꼭꼭 숨어라 집게발 보인다~” 소백산에서 희귀종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발견되지 않아 많은 과학자들이 이 수컷을 찾느라 동분서주하고 있었지요.그런데 최근
국립
공원관리공단이 소백산에 사는 생물들을 조사한 결과 사마귀게거미가 발견됐어요. 이번에 발견된 거미도 암컷이라서 수컷이 근처에 있을 것으로 보고 조사를 계속하고 있지요.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