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0,63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조선 천문학자 이름 딴 '남병철 크레이터'…첫 한국 명칭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남병철 충돌구는 1980년 이후 명명된 달 충돌구 중 가장 큰 충돌구로다. 지금까지 총 1659
개
의 달 충돌구에 이름이 붙여져 있다. 경희대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이안 게릭베셀 미국 산타크루즈대 교수와 공동연구 중 이 충돌구의 이름이 없는 것을 발견하고 이름을 신청하게 됐다. 남병철 ... ...
국내서도 AI로 수학난제 증명 첫 연구...글로벌테크기업 경쟁 치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구글 딥마인드 등 AI 기업들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문제를 푸는 AI 모델을 경쟁적으로
개
발하고 있다. 중국 화웨이는 2022년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 수상자인 프랑스 수학자 로랑 라포르그를 영입해 AI로 수학난제를 풀도록 지원하고 있다. 화웨이는 혁신적인 통신기술을 만드는 데 수학이 핵심 ... ...
BCI 장치 이식한 루게릭병 환자, 다시 '말할 수 있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BCI 장치가 이 환자의 뇌 활동 패턴을 1시간 30분 가량 학습한 뒤 진행됐다. 그 결과 12만5000
개
의 단어를 변환하는 동안 정확도는 90.2%에 달했다. 추가적인 학습을 통해 정확도를 97.5%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이후 환자는 32주에 걸쳐 248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BCI 장치를 사용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 ...
만성 '장 트러블' 염증성 장질환, 원인·치료법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염증성 장질환 환자와 정상인의 대변 샘플에서 미생물 균주 14만
개
를 확인했다. 수백
개
의 균주가 염증성 장질환과 관련이 있었고 일부 균주는 염증 조직에 적응해서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거텔라 렌타(Eggerthella lenta)라는 균주는 염증 관련 단백질 수치가 증가할 때 수가 감소하는 등 질환의 ... ...
우주에 발묶인 보잉 우주비행사들…'플랜 B' 진행시 내년 2월 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예비 계획으로 진행할 경우 우주비행사의 지구 귀환은 6
개
월 뒤인 내년 2월에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ISS에 체류중인 우주비행사들의 현재 상황과 복귀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 6월 5일 발사된 미국 항공우주기업 ... ...
생활하수 속 코로나19 바이러스, 한 주 사이 2배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전국 17
개
시도 하수처리장 84곳에서 측정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농도 수치를 18일 공
개
했다. 이번달 4~10일 전국 하수처리장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농도는 1밀리리터(ml)당 4만7640카피(copy)다. 직전 주차인 7월 27일부터 8월 3일까지 기록된 1ml당 2만4602카피와 비교하면 2배 가량 늘어났다. 카피는 단위 용량에 ... ...
서울에 'AI 연구거점' 조성…KAIST·연세대·고려대·포스텍 컨소시엄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AI 우수연구자가 일정 기간 국내에 상주하며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세미나와 포럼도 정례
개
최해 국제적 지위를 갖춘 AI 연구거점 설립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AI 연구거점을 통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AI 혁신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 ...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년 뒤에 실제로도 구현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플라잉 슈트의
개
발자처럼 나노로봇을
개
발하는 연구자들처럼 도전과 실패를 거듭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가져올 기술 혁신이 더욱 기대되는 요즘이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물리학자 김세정의 시네마 픽 ②아이언맨 - 저절로 ... ...
6번째 대멸종 막기 위한 보호구역은 지구 면적 단 1.2%
과학동아
l
2024.08.17
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정확한 면적을 인공위성을 사용해 추정했다. 그 결과 약 1만 6825
개
의 지역을 보존 의무 구역으로 설정하면 예정된 멸종을 73%가량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면적으로는 약 164만㎢로 지구 면적의 약 1.2%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의 다양한 토지 보호 ... ...
의대 정원 배정 회의록 파기했다는 교육부에 "법 위반" 질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보고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필수의료 분야의 의료진 부족은 의료
개
혁이 지연됨에 따라 누적된 문제"라며 "정책의 실패라는 점을 아프게 받아들이면서 대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 정원 증원에 따른 의학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관련 예산을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