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가지치기되는 신경 연결망의 대다수는 글루타메이트나 다른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신호
를 받는 수용체를 갖고 있다.한편 청소년기에는 감정의 뇌 부위인 변연계에서 도파민의 수치가 올라간다. 도파민은 우리가 쾌감을 느끼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변연계의 도파민 증가로 청소년들은 더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좋아해요. 녀석은 기분이 좋고 행복하면 몸을 뒤집어 배를 보입니다. 쓰다듬어달라는
신호
죠. 한바탕 배를 쓰다듬어주고 턱을 긁어주면 꼬리를 살래살래 흔들면서 불편한 다리로 집 안 여기저기를 뛰어다닙니다. 순대는 볼을 만져주는걸 좋아해요. 볼에 손을 대고 비비적대면 눈을 스르르 감고 목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으로 또렷이 보는 게 가능해졌다. 세포와 결합해 영상
신호
를 내는 ‘나노 프로브’를 이용하면 된다. 하지만, 기존의 가시광선을 내는 나노 소재는 생체 투과력이 낮아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강한 빛을 내는 소재는 중금속 때문에 인체에 해롭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 ...
동료 살리는 침팬지 위험
신호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침팬지는 동료가 위험할수록 위험
신호
를 더 많이 보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크록포트 교수팀은 2008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우간다 부동고 숲의 침팬지 33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했어요. 뱀 모형으로 침팬지가 위험을 어떻게 알리는지 관찰한 ... ...
소년은 늙기 쉽고 연애는 이루기 어렵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여자는 따뜻한 연애를 잘하는 성격일수록 남자가 다가가기 쉬워서 남자가 보내는
신호
를 알아채는 감각이 발달하고요.‘연애도 해 본 놈이 잘 한다’라는 게 괜한 말이 아니더라고요. 남자는 마음에 드는 여자가 있으면 열심히 들이대야 하는거예요. 여자라면 접근하는 남자를 너무 매몰차게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노력해서 이 사막을 녹지로 가꾸자며 기운을 북돋아 주려 애썼다.그때, 기지에서 경고
신호
를 보냈다. 궤도에 떠 있는 기상 위성이 기지 쪽으로 다가오는 모래 폭풍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설명하느라 정신이 팔려서 모래 폭풍도 못 보고 있었다. 모래 폭풍은 금방 우리를 덮칠 것 같았다.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면 주사위를 두 번 굴려 연속으로 6이 나온 수준에 불과하지만 124~126GeV를 가리키는
신호
가 독립적으로 여러 번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논평했다.[2011년 12월 13일 공개 세미나 현장. 이 자리에서 CMS와 ATLAS의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빠르면 올해… 그 이후는?물리학자들은 예상하던 결과였다는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동을 할 때는 과감하게, 학생의 연구활동에 대한 긍정적
신호
를 주고 활동을 하도록 합니다. 그 뒤에 학생이 현재보다 더 높은 꿈을 꿀 수 있는 활동을 하게 도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이 학생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첫 번째 연구활동은 결과가 왜 그렇게 나오는지에 ... ...
에너지의학의 신비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미세전자기장으로 추정한다. 즉, 에너지의학은 신체 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신호
전달 체계에 전자기를 도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인 것이다. (…중략…)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이런 에너지가 있는지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다.최근이 되어서야 서양의 양자역학에서 이를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로 미세바늘 다발이 아닐까 생각한다. 뇌의 모든 부분에 이런 미세바늘을 꽂고 전기
신호
를 컴퓨터로 전달하면, 모든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다. 각 바늘에 전류를 흘려 실제와 같은 감각을 느끼게 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에게 미세바늘을 이식하는 것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