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길어져야 한다. 이 경우 빛보다 빠른 뉴트리노는 오류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신호
발생기가 문제였다면 뉴트리노의 속도는 오히려 더 빨라져야 한다. 현재 연구소는 어느 쪽이 원인인지 밝히고 있다.새로운 실험 결과도 논란에 가세했다. 20일 뒤인 3월 16일, 같은 연구소의 다른 팀에서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한다. 스코폴아민은 멀미약 성분과 같다.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해 다른 세포로
신호
를 전달하는 것을 막는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멀미 패치를 붙이면 당시의 기억이 잘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아세틸콜린이 기억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패치는 약효가 24시간 지속돼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일이 순식간에 일어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입자들은 수천t이 넘는 검출기 안에서 전기
신호
로 바뀌어 기록된다. 한 번의 충돌을 기록한 데이터는 약 2MB다.양성자는 1초에 거의 1억 번 가량 충돌하기 때문에 여기서 만들어지는 데이터의 양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래서 데이터를 최대한 선별해서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해석에 도움을 주는 기술도 개발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영상처리를 할 때 불필요한
신호
를 제거하고 부위별로 다른 색을 입히면 연구자가 사진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이처럼 MRI와 관련한 기반기술로 확보해 많은 연구자들이 좋은 연구결과를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
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미국에 입국하려다 제지당했다. 손가락에 지문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여성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무지문증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헤라클레스자리 *구상성단 M13을 향해 167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신호
를 발사했다. M13까지의 거리는 2만 4000광년으로, 이를 받은 외계인이 보낸 답장을 받을 때까지 4만 8000년을 기다려야 한다.이 메시지는 1679개의 이진수로 이뤄져 있다. 1679가 선택된 이유는 23과 73, 두 소수의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뉴런이 들어 있는 셈이다. 브레인스케일스는 지난 1월 처음으로 완성된 웨이퍼에서 신경
신호
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뇌처럼 작동, 혹은 생각(?)하는 인공 뇌는 현대 사회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쓸 수 있다. 현재 쓰는 컴퓨터는 단순 계산에는 능하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람들이 간질을 치료하기 위해 뇌 속에 삽입하고 있는 미세전극을 통해 뇌세포의 전기
신호
를 직접 측정할 수 있었다.이 세포는 작고 귀여운 동물 캐릭터인 ‘피터 래빗’을 볼 때 활성이 더 좋기 때문에 ‘피터 래빗 세포’로 부르기도 한다. 코흐 교수팀은 이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도파민이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
신호
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
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환자는 말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1874년 독일의 의사인 칼 베르니케는 좌측 측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되면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잘하는 패턴 인식은 입력
신호
가 너무 복잡해서 어려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로 표현이 안 돼 컴퓨터로 처리하기 어렵다.뇌는 오랜 세월에 걸쳐 어려운 문제에 맞게 진화한 하드웨어다. 따라서 우리는 쉽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어려운 문제를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