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대변을 말리면서 냄새는 화장실 밖으로 배출한다. 건조된 용변을 봉투에 담아 화장실 밖에 설치된 미생물 소화조에 넣으면 그때부터 미생물이 대변 분말을 분해해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만들기 시작한다.여과장치에서 여과된 두 기체는 각각 난방(메탄가스)과 녹조류 배양(이산화탄소)에 쓰인다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바꿔 아미노산의 하나인 프롤린과 아르지닌을 만든다. 구연산염은 미토콘드리아 밖으로 운반해 아세틸 조효소 A로 바꾸고, 아세틸 조효소 A는 세포막 생성에 필수적인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을 만드는 데 쓴다.3. 극한 환경에서 암이 생존하는 법세포는 조금만 이상이 생기면 신호를 보내 자살을 ...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어렵답니다.하지만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몸 안에서 글리세롤을 만들어 내 세포막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요. 그 결과 염도가 높은 물에서도 살아갈 수 있게 된 거예요.또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자외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베타 카로틴’이라는 붉은 색소를 만들어 내요.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설악산보다 산사태에 취약할수 있다는 뜻이다. 채 센터장은 “시스템을 설치한 지 1년 밖에 되지 않았고, 작년에 비가 많이 오지 않아 새로운 정보가 많지는 않다”며 “적어도 3년은 측정을 해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산사태 잘 나는 지역은 따로 있다연구팀의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미생물은 지구로만 한정해도 전체 미생물의 1% 밖에 안됩니다. 가능성은 직 남아 있는 셈입니다. 이번 화는 아쉽게도 소설의 설정을 완벽하게 반박하지는 못했네요. 언젠가 지구인들이 행성을 활발하게 오고 가는 날이 온다면 진실을 밝혀낼 수 있지 않을까요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분자생물학의 기본 원리)에 열광하고 있었습니다. 단백질이 어떻게 버려지는가는 관심 밖이었습니다.”그의 말처럼 당시 생명과학의 주류는 DNA의 전사와 번역이었다. 단백질의 분해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게다가 당시에는 모든 단백질이 리소좀에서 분해된다고 알려져 있었다. 리소좀이 아닌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깨어난 북방산개구리들이 산지와 인접한 습지에 낳은 알을 자주 볼 수 있답니다. 이 밖에도 광릉숲에는 무당개구리, 불두꺼비, 청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옴개구리 등이 살고 있어요. 무당개구리와 청개구리를 제외하고는 숲의 맑고 깨끗한 자연에서나 찾아볼 수 있게 된 개구리들이지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싹 쓱싹!” 시원이는 깔끔하게 화학실 뒷정리를 하고 밖으로 나와 크게 숨을 들이마셨어요. 따뜻해진 공기, 상큼한 흙냄새…. 주위를 둘러보니 여기저기에 민들레가 가득 피어 벌써 봄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지요. 그런데 민들레를 보자 오로라의 얼굴이 딱 떠오르지 뭐예요.“오로라는 날 어떻게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공준’이라 불리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본 공리였다. 쉽게 말해 ‘주어진 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고,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이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가정이었다.“책을 보며 ‘이 가정이 꼭 필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왜 여태껏 하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게 계속 공부하다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예를 들어 냉동 브로콜리는 신선한 브로콜리에 비해 설포라판 성분이 10분의 1 밖에 되지 않습니다. 또 30초 이상 삶으면 설포라판 함량이 감소합니다. 한두 번 먹는다고 효과가 나타나는 것도 아닙니다. 동물실험에서는 보통 1주일 동안 해당 성분을 투여하고 효과를 측정하는데, 이는 사람에게는 1년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