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수 있겠어요!”네이피어는 기뻐 소리치는 단을 쳐다보더니 폴짝폴짝 뛰면서 앵무조개
밖
으로 달려나갔다. 뒤이어 단도 네이피어를 따라나섰다. 그때였다. 입구에 있던 촉수들이 뻗어 나오더니 단을 꽁꽁 묶었다. 촉수에 묶인 단은 꼼짝하지 못했다. 그리고 앵무조개 촉수는 단을 한순간에 집어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분명 실재했다. 그 비현실성을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과감한 가설을 가져오는 수
밖
에 없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 과감한 가설이었다면?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가 아니라면? 거기가 첫 번째 갈림길이었다. 언뜻 눈에 띄지는 않았지만 다른 길 하나가 숨겨져 있는 게 분명했다.‘미래를 알아맞힌 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입자에 의해 사방으로 퍼지는 산란이 일어나요. 푸른색의 빛은 거의 산란되어 지구 대기
밖
으로 나가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대기를 잘 통과하는 붉은색의 빛만 달까지 갈 수 있어서 달이 붉게 보인답니다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그 순간 호수를 둘러싼 바위 한 편이 갈라지더니 파스칼이 타고 있는 쳇바퀴가 호수
밖
으로 빠르게 굴러나갔다. 단도 재빨리 쳇바퀴가 굴러가는 쪽으로 따라나섰다. 하지만 물이 흐르는 속도까지 더해져 빠르게 굴러가는 쳇바퀴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곧 시야에서 파스칼이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가득 차버렸습니다(아무리 무한 개의 방이 있더라도, 무한 명의 손님이 있다면 이럴 수
밖
에 없겠죠). 야속한 손님들은 그것도 모르고 계속 로비에 도착하는데…, 한 번도 손님을 거부한 적이 없는 100년 전통의 호텔은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다행히 힐베르트 호텔에는 똑똑한 벨보이가 ... ...
[Photo] 천의 얼굴에 숨은 천 가지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많이 가지고 있다. 또 중정석은 물은 물론 위산 같은 산에도 잘 녹지 않아 안전하게 몸
밖
으로 배출된다.일자리 창출이 화두인 요즘, 중정석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에도 새로운 기회가 숨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정석을 시추이수와 조영제로 쓸 생각을 한 사람들은 큰 돈을 벌었을 것이다.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일도 못해서는 안된다. 오늘은 공포의 이런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보자.공포는
밖
으로 향한다우선 공포는 우리의 마음을 편협하게 만든다.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죽음의 공포를 자세히 떠올리게 하고, 다른 참가자에게는 일상적인 일을 기억하게 했다. 그 후 ... ...
[지식] 인생은 게임이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경쟁을 하니까 주위에서도 재미있어 하는 것이지 라이벌 구도가 되지 않으면 점점 관심
밖
이 될 거예요.미팅에 나가서 단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어요. 유머감각도 뛰어나고 성격 좋다는 말도 많이 듣는데 왜 그럴까요? 사실 제가 나간 미팅은 분위기가 정말 좋아요. 쉴새 없이 이어지는 게임과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미군이 괌에 배치한 사드의 환경영향을 측정해 작년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100m
밖
에서는 건강 안전상의 문제가 예측되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거죠. 또,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이루는 각도 5°) 일반인 출입 한계인 3.6km에서 전자파가 지면으로부터 315m 위를 지나가므로 전자파를 직접 ... ...
[과학뉴스] 2099년, 아델리펭귄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사는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2099년에는 지금의 3분의1
밖
에 남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델라웨어대 연구팀은 온난화 때문에 남극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29일자에 발표했다.아델리펭귄은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