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별"(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과학동아 l1995년 09호
- 강의를 경청했다. 신 박사는 나비 표본 만드는 방법, 나비와 나방의 구분법, 나비 암수 구별법 등에 대해 설명하고 도감을 살펴가며 채집된 나비의 동정(同定)에 들어갔다.이날 채집된 나비중 가장 많은 개체수가 잡힌 종은 조흰뱀눈나비였다. 이 나비의 이름은 우리나라 곤충 연구의 선구자인 조복성 ... ...
- 1 생명의 설계도, 방대한 유전정보 입력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있는 부위가 많이 밝혀지고 있어서, 이를 이용한 DNA 지문(DNA fingerprint)이 각 개인을 구별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개인별 특이성을 보이는 DNA 지문은 이미 법정에서 증거물로서도 인정받는 추세다.한편 단백질의 정보를 갖고 있는 부위에서의 DNA 서열(Coding sequence)의 차이에 비해서, ... ...
- 3 쥐라기 공룡, DNA 조작으로 되살릴 수 있나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왜 호박 속 모기인가?생명현상으로서 DNA는 정보의 질적인 차이로 무생물적 정보와 이미 구별되지만 ‘부활'이란 말은 보다 적극적으로 개체성 획득을 전제하고 있다. 먼저 DNA가 있고 그것으로부터 이미 소멸된 개체의 독특한 정보를 발현시키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다.다시 영화 속으로 돌아가 보자. ... ...
- 5 전세계 단일권 이동통신 꿈꾼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음성 및 데이터 처리용) 영상통신(영상통신중계 및 직접위성방송) 이동통신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미래형 위성사업계획을 음성 데이터서비스 부분과 영상통신(방송), 그리고 멀티미디어 부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 음성 및 데이터통신 영역우선 정지궤도 위성 서비스로는 ... ...
- 멀티미디어지식 백과사전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이 타이틀은 지극히 미국적인 냄새를 풍기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백과사전류와 구별된다.정치 경제 역사 문학 비지니스 예술 지리 인류학 과학 기술 등 전체 항목을 23개의 섹션으로 구분한 가운데, 대부분의 텍스트는 미국을 중심으로 서술돼 있다. 이같은 서술은 이 타이틀의 장점이자 단점이다. ... ...
- 별 탄생의 순간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야누스는 그 오른쪽에 모습을 보이고 있고 판도라는 엔셀라두스 바로 왼쪽에 있지만 구별이 되지 않는다. 한편 북반구의 적도대 바로 왼쪽 위에 보이는 타원 모양은 이 행성의 국부적인 대기순환 현상을 보여준다.[아래] 이 사진은 위 사진보다 96분(HST가 지구를 한번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후에 ... ...
- 2. 아프리카 발생·체액 접촉 전염 공통점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마버그(Marburg) 바이러스가 있다. 그러나 에볼라와 마버그에 의한 질환은 임상적으로 서로 구별이 쉽지 않아 두 질환 모두를 통틀어 '아프리카형 출혈열'로 부르기도 한다.에이즈는 1981년 미국에서 전혀 새로운 질병의 양상을 보이는 환자들이 처음 보고된 이후로 연구가 진행돼 원인이 역전사효소를 ... ...
- 1. 무시험 입학, 구김살 없는 과학영재 기른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60% 정도를 무시험 특별전형으로 받아들일 예정이다.이 대학 지망생은 모두 학과 구별없이 선발하기 때문에 입시 때마다 눈치작전으로 학과의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이 없다. 대학에 진학한 후 학과를 본인의 선택에 따라 결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이 대학에 입학하는 신입생은 약 70%가 ... ...
- 1. 에볼라는 유행성 출혈열의 일종-사망률90%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이때 바이러스의 삽입효소(integrase)가 작용한다. 그 결과 HIV DNA는 세포 유전물질과 구별할 수가 없어진다.이와같이 세포 DNA에 끼어들어간 HIV DNA를 주형으로 RNA가 만들어지고 이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은 세포가 지니고 있는 효소단백질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진다. 이어서 바이러스 ... ...
- 옻칠 황칠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생산되지 못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황칠나무는 일반 옻칠나무인 낙엽교목과는 구별되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다. 이 나무의 특징은 잎이 세갈래인 삼지창 모양과 다섯갈래 모양, 넓다란 타원형 모양의 세가지가 있다는 점이다. 한 나무에 세 종류의 잎이 달려 있어 희귀한 나무로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