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가장 필요한 문명의 이기를 갖다 주었으며 세계를 바꾼 사람이라고 칭해도 무리가 없다.
인류
가 그에게 큰 빚을 지고 있음은 말할 나위 없다. 어린 시절 에디슨은 특히 한 권의 책에 흥미를 보였다. 『자연실험철학』이란 책으로, 전기분해나 열전도와 같은 아주 기본적인 실험들과 그 실험에 관한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수족관 돌고래가 아이들에게 교육적이라는 주장은 독방에 감금한 죄수를 보여주고서
인류
에 대해 알아보자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일침을 놨다. 돌고래 관광은 자연에서 실제 모습을 관찰하는 생태 관광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호주와 노르웨이 등은 고래 생태 관광을 활발히 운영하고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리키와 동료들이 호모 하빌리스를 기술한지 100년이 되는 2064년 무렵의 미래 연구자들은
인류
진화에 대한 오늘날의 가설들이 무척 단순화된 것이었다고 평가할 것이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웨스트민스터에 제임스 와트의 이름이 올라 있는 것은 모두
인류
를 위한 그의 발명 덕분이다. 현대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과학용어인 전력의 단위 와트(watt)는 그를 추모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다. 한 가지 아이디어가 곧바로 위대한 발명품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
채널A
l
2014.04.10
자연음파와 인공음파를 구별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현재
인류
의 음파탐지 기술은 수천 미터 밖의 고래 소리도 인지할 정도로 발달했습니다. 그러나 난관도 많습니다. [인터뷰 : 변성훈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임연구원] 바닷물의 굴절 등으로 신호 특성이 수시로 바뀌는데, 이런 ... ...
[채널A] 빌 클린턴 “별에서 온다고 놀라진 않을 것”
채널A
l
2014.04.07
있습니다.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지적생명체의 존재 확률은 '약 100%'. 머지 않은 미래에
인류
의 궁금증이 풀리기를 기대합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inter/3/02/20140404/6228253 7/1 ... ...
남녀노소, 모두가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
KISTI
l
2014.04.04
해도 제대로 효과를 못 볼 수도 있고, 백신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인류
가 이만큼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예방 접종이 세운 공은 적지 않다.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치명적인 바이러스도 예방 접종을 통해 비축한 힘으로 이겨낸 사례가 많다. 시대가 변하고 환경이 달라지면서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
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데니소바인의 피가 3-6% 섞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데니소바인에게는 미지의
인류
의 피가 0.5-8% 섞인 것으로 추정된다. 고게놈학이 없었다면 상상할 수도 없는 연구결과들이다. - 네이처 ... ...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3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때문이라는데... 짝사랑을 넘어 이제는 우리가 화성으로 쳐들어가는 시대. 화성은 진정
인류
의 뉴타운이 될 수 있을까? 화성에 얽힌 과학 이야기부터 온갖 분야의 잡담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MC의 별별 이야기! 제3편에서 확인해보자.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
KISTI
l
2014.03.14
2050년 세계 인구는 현재의 70억 명을 넘어 90억 명이나 될 것으로 예상된단다. 지금도 전체
인류
의 6분의 1이 굶주리고 있는데 20억 명이나 늘어나면 훨씬 상황이 심각해지겠지? 그렇다고 경작지를 넓힐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설사 넓힐 수 있다 해도 고품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구할 방법은 막막하거든.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