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스페셜
"
인류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5억 8000만km 떨어진 혜성에 세탁기보다 작은 크기의 무인 로봇을 착륙시킨다’
인류
최초의 혜성탐사 도전이 드디어 시작됐습니다. 유럽우주국은 약 4시간 전인 오늘 오후 6시 혜성 로제타호에서 무인 로봇 ‘파일리’가 성공적으로 분리됐다고 밝혔습니다. 안드레아 아코마조/ 로제타호 운영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크로나(Kr)의 상금과 더불어 세계적인 유명세와 명예를 수여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
인류
문명의 발전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들'이라는 기준으로 출발했지만 이제는 혁신과 창의성의 업적을 평가하는 잣대로까지 사용되고 있다. 노벨상의 6개 분야 중에서 국가 간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 ...
복리의 마법, 어떻게 활용할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중요성은 결코 투자상품에 국한되지 않는다. 투자 마인드 그 자체다. 아인슈타인도
인류
최고의 발명품으로 복리를 지목하며 '복리야말로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힘'이라고 말했다. 석유왕 록펠러 또한 '복리는 세상의 8번째 불가사의'라는 말을 남겼다. 복리는 도대체 어떻게 그러한 마법을 부리는 ... ...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적극적으로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녹색기술센터의 존재 이유는 기본적으로
인류
의 지속 가능한 생존전략으로서 녹색기술을 확산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모든 노력과 활동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이러한 녹색기술 의제를 확산하기 위한 국가 간 교류, 또한 GGGI, GCF 등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
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키 증가 추세를 영양상태 개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 처음북스 제공 블레이저 교수는 ‘점점 커 가는 키’라는 제목의 12장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제3의 조명 시대를 연 청색LED는 그러나 일주리듬 교란과 멜라토닌 합성 억제 등
인류
의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크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LED의 등장으로 세계 보건에 ‘적색등’이 켜졌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조명이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크게 성장하고 싶다는 욕심보다 담당하는 소소한 일 하나하나가 조직의 성장, 나아가
인류
와 가치를 이루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당찬 포부를 내비쳤다. 그러면서도 "일단 밥값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현실적 목표도 함께 밝혔다. 훌륭한 서포터즈가 되겠다는 김봉재 행정원 - 김상현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
IBS
l
2014.10.10
존경하는 IBS 임직원 여러분! 기초과학의 과실이 언젠가는 사회에 환원되어
인류
에 공헌한다는 것은 역사가 말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창조경제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창의력에 바탕을 둔 과학기술이 그 핵심이고 그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는 책무가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연구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fMRI 기술이 개발된 후, 뇌에 대해 20여년 사이에 그 이전의
인류
역사보다 훨씬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fMRI는 혈관 내 산소 농도에 따라 MRI 영상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한다는 점을 이용한 방법이다. 뇌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될 때 해당 부위에 대량의 산소가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기준으로 글을 써야 할 것이다. 혹시나 해서 필자의 글을 검색해보니 심지어 ‘현생
인류
와 가장 가깝다는 네안데르탈인조차 2만4000년 전에 멸종했는데’라는 문구도 있다(하필 에세이집에도 실린 글인데 뭘 보고 그렇게 썼는지 모르겠다). 다음에 인쇄를 하게 되면 잊지 말고 업데이트를 해야겠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