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랑스 여행 전문가 '어델 또가숑'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발명해서 형제가 함께 열기구 발명가로 알려졌다.“헤헤, 여기 힌트가 담겨 있는
종이
쪽지가 있지. 이 사람을 찾아오라고~!”열기구 형제의 실험썰렁홈즈와 어델 또가숑은 열기구를 만들어 낸 프랑스 발명가를 찾으러 떠났다.“지금부터 열기구 실험을 하겠습니다~!”팡파르가 울렸다. 때는 1783년 ... ...
숲속의 보물, 버섯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이름이 지어지지 않은 버섯도 있었단다. 버섯은 전세계에 2만여 종, 우리나라에는 1600여
종이
보고되었고, 지금도 계속 발견되는 중이래. 알면 알수록 신비한 버섯 이야기 한번 들어볼래?알쏭달쏭 버섯하나 독버섯은 무조건 화려하다?산에서 발견한 버섯을 함부로 먹는 일은 매우 위험하다. 지난 해만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촉구하는 내각회의를 바닷속에서 개최한 것이다. 회의에 참가한 몰디브 정부의 장관들은
종이
서류 대신 화이트보드와 유성 잉크를 사용한 방수펜으로 서명하고 회의를 진행했다.더 이상 물이 무섭지 않은 전자기기전자기기들이 물을 두려워하지 않게 바뀌고 있다. 가벼운 방수 기능을 넘어서 아예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고양이 외에도 다양한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애완동물은 대부분 외래
종이
라 유기동물이 되었을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답니다. 실제로 198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에서 애완동물로 키웠던 붉은귀거북이 자연으로 그냥 방생된 경우가 많았어요. 이런 붉은귀거북은 우리 토종 ... ...
종이
접기로 배우는 삼각형의 무게중심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용해 중심을 잡아도 균형을 잃지 않는다. 이 성질을 이용해 무게중심을 찾아 흔들리는
종이
인형을 만들어 보자. *중선이란 삼각형의 각 꼭짓점과 마주보는 대변의 중심을 잇는 선분을 말한다 ... ...
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자신이 그린 그림을 암호로 쓴다. 원리는 간단하다. 기계는화면을 조밀한 모눈
종이
로 나눠 인식한다. 사용자가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칸을 선택하면 같은 암호로 받아들인다. 화면을 나누는 칸이 많을수록 암호의 보안성은 높아진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 그린 모양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면 자신이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뒤 저글링 공연을 한다. 수학에 지친 학생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어 주기 위해서다. 수학은
종이
와 연필을 들고 혼자서 고독하게 하는 학문이라 지칠 때가 많은데, 저글링은 에너지가 넘치고 다른 사람을 기분좋게 할 수 있어 힘이 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 ...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때 포장지를 사선으로 싸는 경우가 있다. 듀마는 이 경우가 전통적인 박스 포장보다
종이
를 더 많이 쓴다고 했다. 박스의 바닥이 정사각형인 경우를 제외하고 말이다. 하지만 여분의 포장지가 작은 크기만 남아 있을 경우에는 사선 방식으로 포장하는 것도 유용하다. 이때 사선의 각도는 45°가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사용 관련법을 개정한다. 학교수준 학교 숲을 조성하고 각 반의
종이
사용량을 한정한다.
종이
및 일회용품을 가장 적게 사용했거나 나무를 가장 많이 심은 반에게 상을 준다. 학생수준 일상생활에서 자원을 아끼고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학교에서 권장한 방법 이외에도 지구온난화를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역할을 하고, 다른 한 종은 어른의 역할을 하는 생물이 아닐까. 생물학적으로는 같은
종이
지만 사실상 다른 종으로 생각되기도 한다.애벌레의 탈피나 변태의 과정을 제대로 몰랐던 옛날에는 애벌레를 육체로부터 분리된 유령, 망령이나 도깨비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신비한데다 그들이 어떻게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