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이"(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제리 이만 교수는 탐지된 전파의 기록을 분석하던 중 특별한 신호를 발견하고 놀라 종이에 ‘와우(Wow)!’라고 적었다. 이 신호는 외계 신호일 가능성이 컸지만, 이후 다시 잡히지 않았다.외계의 신호를 모아 주는 포물선과 쌍곡선우리은하는 지름이 10만 광년이 넘기 때문에 우리은하의 끝에서 신호를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계통수를 구축하는 ‘Red Algal Tree of Life’ 과제로 5년간 진행된다. 현재 홍조류는 60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 가운데 500여 종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계획이다. 그리고 16종은 게놈까지 분석한다. 윤 교수는 지난해 성균관대에 부임했지만 이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는 비글로연구소 실험실도 운영하고 ... ...
- 내 안에 고릴라 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오랑우탄과는 3.40% 차이가 났다.연구팀은 또 유전자 비교를 통해 각 종이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시기를 추정했다. 유전자는 갈라져 나온 시간이 길수록 차이도 커지기 때문에 유전자 차이를 바탕으로 갈라져 나온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인간은 침팬지와 370만 ...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수학과 과학을 탐구하는 마음으로 기초과학의 든든한 밑거름을 다지는 고등과학원. 종이와 연필만 있어도 수학으로 행복해지는 친구가 있다면 미래에 고등과학원의 주인이 되는 꿈을 꿔 보면 어떨까? 한국의 첫 필즈상 주인공을 상상해 보면서 말이다 ...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발견했다. 그는 지문을 분명히 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손가락 끝에 잉크를 묻혀 종이에 찍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이렇게 지문에 빠져있을 때 병원에서 사소한 도난사건이 일어났다. 누군가가 소독용 알코올을 조금씩 빼내갔던 것.아마도 물을 타 술로 마셨을 거라고 짐작한 폴즈는 잔으로 ...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종이의 양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따라서 자주 쓰는 글자나 접속사를 약자로 만들어 종이도 절약하고, 간편하게 쓸 수 있도록 했다.약자는 한글점자뿐 아니라 영어점자에도 있다. ‘and’나 ‘so’와 같은 접속사는 물론이고, ‘anti-’, ‘-ful’과 같은 접두사와 접미사도 약자로 만들어 쓴다. 영어는 ...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때 폴리스가 편지 한 장을 주워 폴에게로 다가왔다. 편지는 매우 오래 전에 쓰여진 듯 종이가 매우 낡아 보였다.“뭐라고 쓰여 있어?”편지를 남긴 주인공은 오래 전, 이 낭떠러지를 건넜다고 적혀 있었다. 지금 폴과 폴리스처럼 낭떠러지를 보고는 깊은 좌절감에 빠져 그냥 낭떠러지 아래로 몸을 ...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접는 과정을 통해 차원이 늘어난 것이다. 과학자들이 DNA 오리가미란 말을 만든 것은 종이접기처럼 1차원인 DNA가닥을 가지고 2차원, 3차원 형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염기의 상보적 서열 인식 이용DNA 오리가미는 2006년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에서 처음 소개됐다. 생명체의 정보를 담고 ... ...
- 빙하시대가 주선한 고대 인류 만남의 장소, ‘레퓨지아’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덕분에 일어난 진화적 변화로 인간이 범지구적인 종이 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간(호모 사피엔스)과 달리 네안테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멸종했다 ...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우리가 그런 발가락을 갖고 있습니다). 라미두스의 발가락은 이종이 걸었을 뿐 아니라 나무도 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20세기 후반에 정설로 인정받던, ‘최초의 인류는 직립보행을 했다’는 가설이 위태로워진 것입니다.주변 생태를 연관지어 보면 문제가 더 커집니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