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보"(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부은하 공간 얇은 헬륨이온구름 발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천문학자들은 별과 별 사이의 우주공간에는 먼지와 가스가 흩어져 있다고 믿고 있다. 1960년대 고립돼 있는 은하 크기의 수소구름을 발견하기도 했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은 내부은하 공간에서 아주 얇은 이온화된 헬륨 안개를 발견했다.유럽우주기구(ESA)의 덴마크 천문학자 야콥센이 이끄는 연구 ... ...
- 컴퓨서브 전문포럼 5백여개 누구나 정보교환 손쉽게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국제화'의 구호아래 사회 전 영역이 글로벌화되고 있다. 이젠 정보도 '국제화' 돼야 한다. 그동안 국내의 온라인 서비스에 안주해온 사람이라면 한번쯤 눈을 돌려 '더 큰 바다'를 향하는 것은 어떨까. 본지에 연재될 이 난은 앞으로 정보의 소재를 알리는 역할(know-where)과 함께 효율적으로 정보를 구 ...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아마도 코언의 새로운 논문 발표로 일단 막을 내린 것 같이 보인다.지난해 10월28일자동아일보에 '수학계 3백년 난제 풀릴 듯'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지난 93년 6월23일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A.와일츠 교수가 성공했다고 단언한 3백50년 전의 '페르마의 정리'의 증명이다. 하지만 와일츠의 ... ...
- 정상우주론 VS 빅뱅우주론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우주는 어떻게 탄생해서 오늘에 이르렀는가. 앞으로 우주는 어떻게 될 것인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우주는 항상 불변이라고 주장하는 정상우주론. 과거 한 점에서 대폭발을 일으켰으며 앞으로도 팽창 또는 수축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빅뱅우주론. 이 두 라이벌은 지난 반세기 동안 선의의 경 ... ...
- CD-롬 바람, 잡지계에도 불어온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멀티미디어의 총아'로 불리는 CD-롬의 또다른 이름은 '전자책'이다. 이름만으로 보자면 '디지털 정보'와 '종이'의 결합이 썩 어울리는 편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등장한 CD-롬 타이틀의 면면을 살펴보면 결코 잘못된 작명은 아닌 듯하다.사실 출판 종사자들은 막대한 저장용량을 가진 CD-롬이 글씨나 ... ...
- 별자리 테마여행-오리온자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① 오리온의 등장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Pentax K 1000, 50㎜(f 2) 필름 provia 100, 30분 고정 촬영 ② 아르테미스를 찾는 오리온1994.11.25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Pentax K 1000, 35㎜ zoom(f 3.6), 필름 provia 100, 15분 고정 촬영③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영원한 연인 오리온1 ...
- 영양소 균형잡힌 전통식단 첩반상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우리의 전통식단은 조선중엽부터 첩반상의 형태로 표현화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의전서(是議全書)'에는 우리의 전통 표준식단인 첩반상의 구성이 자세히 기술돼 있으며, 밥상에 차려 놓는 방법까지 그려져 있다. 첩반상의 구성은 밥 국(찌개) 김치를 기본으로 하며 여 ... ...
- 에너지 60% 절약 가능한 이온램프 개발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미국 에너지성은 94년 10월 가까운 장래 전극이 없는 이온램프가 범용 고위도램프와 교체될 것이라고 발표했다.전극이 없는 이온램프는 메릴랜드 주 로크빌에 있는 퓨전 라이팅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금까지 램프의 약 1백배 밝기를 낸다.퓨전 라이팅사는 이 전구를 개발하기 위해 처음에는 수은전 ... ...
- 4백 40만년 전 '라미다스 원인' 화석 발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최고의 인류의 선조로 여겨지는 원인의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가장 오래됐다고 알려진 아팔원인의 화석보다도 수십만-1백만년이나 오래된 약 4백40만년 전의 화석이다. 침팬지와 인간이 분리된 시기를 약 5백만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으므로 그 시기에 가장 근접한 화 ... ...
- 스페이스 셔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나사(NASA), 즉 미항공우주국은 우리들에게 매우 친숙한 이름이다. 지난 59년 독일계인 폰 브라운 박사의 도움을 받아 국가 항공자문위원회를 해체하고 설립된 이곳은 지금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미국 우주 개발의 요람으로서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나사가 지금까지 우주 탐험과 관련해 벌인 활동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