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보"(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플라스마연구의 파이어니어 '한빛' 본격 가동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이미 1차 플라스마를 생성한 한빛장치는 오는 9월부터 정상가동에 들어가 연말까지 1천만도의 고온 플라스마를 생성시킬 예정이다.국내에서도 인공태양으로의 첫걸음이 시작됐다. 대덕 기초과학센터에 설치된 초고온 플라스마 실험장치 '한빛'이 시험가동에 들어갔다. 지난 1월25일 한빛은 질소가 ... ...
- 공룡 냉혈이다 VS 온혈이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19세기 초에 인류의 눈앞에 처음 드러난 중생대 거대 동물체의 화석은 그후 많은 연구과제와 화제를 만들어왔다. '공룡'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된 이 멸종 동물의 신비는 세계 각지의 과학자들에 의해 조금씩 벗겨지고 있다. 최근의 핫 이슈는 공룡이 온혈성이었는지, 냉혈성이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 ...
- 가상현실기술 과대포장돼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가상현실의 연구자들은 멋진 환상의 합성세계를 체험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가상현실 세상을 뒤바꾼다' '일상생활로 파고든 가상현실' '가상현실이 현실로' 등의 제하에 각종 매스컴에 소개되고 있는 VR(Virtual Reality) 관련 기사를 보면 가상현실의 기술적 문제들이 모두 해결돼 이미 우리 ... ...
- 질소화합물, 오존층 파괴하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미국 항공우주산업이 프랑스의 콩코드와 같은 초음속항공기를 만들지 않는 이유중의 하나는 오존층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초음속 항공기의 배기가스가 하부성층권의 오존층을 대량으로 파괴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다. 극초음속 항공기가 지나는 하부 성층권은 오존이 ... ...
- '하이테크사회' 병들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
- 우주나이 80억년, 새 표준모델 필요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요즘 우주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최근 발표된 서로 다른 두 허블상수(Ho)에 대해서 뒷짐만 지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은하의 후퇴속도 및 우주의 크기와 나이는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허블상수는 이들 물리량을 대표해서 우주모형을 가장 간단하게 표현하는 수치이다. 다음 내용은 얼마 ... ...
- 심해저 열수지역, 희귀생물의 보고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지구상 대부분의 생물들은 광합성을 기본으로 한 먹이사슬에 의존해 있기 때문에 '태양을 먹는 생물'이라 불린다. 70년대 후반 이후 심해의 열수(熱水) 분출 지역에서 발견된 생물군집은 지각이 벌어진 틈에서 뿜어져나오는 메탄황화수소 등을 에너지 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지구를 먹는 생물'이 ... ...
- 자유전자 레이저 개발, 에너지 송전에 활용과학동아 l1995년 02호
- 파장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유전자레이저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소 고출력레이저 기술개발팀 이종민 이병철 박사팀은 전자빔을 가속시키고, 전자빔이 휠때 발생하는 방사광을 언듈레이터로 증폭시키는 방법을 이용해 ㎜영역의 자유전자레이저를 발진시키는데 성공했 ... ...
- 사람, 왜 늙는가과학동아 l1995년 02호
- 탄생과 성장, 노화와 죽음. 이는 생명체에게 주어진 운명이자 우주삼라만상을 관통하는 법칙인듯 여겨져왔다.그러나 과학의 힘을 등에 업은 인간의 도전은 노화과정 규명과 노화방지를 위한 노력으로 나아가고 있다. ...
- 그림으로 보는 정보고속도로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원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뉴스를 보는 것으로 족하다. 이미 기상하기 10분 전 '동아일보 뉴스네트'에서 뉴스는 받아놓았다. 제일 먼저 스포츠 메뉴를 클릭하자 내가 응원하는 프로야구팀이 상당한 점수차로 상대방을 이겼다는 기사가 나왔다. 여기서 다시 기사 하단의 필름 아이콘을 누르자 90초짜리로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