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3차원 모형으로 밝힌 돌연변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팀은 세 종류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변수로 한 식을 이용해 만든 모형으로 유전자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암세포에 돌연변이가 왜 많은지 설명했습니다.돌연변이는 세포분열 때 생기는데, 대부분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합니다. 일부가 악성 종양을 일으키는 것이지요. 연구팀은 수학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누가 기초연구를 합니까. 전부 응용 위주지. 분류학자가 멸종위기라는 말까지 돌잖아요. 유전학이 거기에 쐐기를 박았지. 요즘 학자들은 곤충을 직접 보지 않고 DNA를 분석하니 파브르의 연구를 돌아볼 일이 더 없어졌어.” “출신도 중요해.” A가 다시 주도권을 찾아왔다. “파브르는 학계 바깥의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는야 지구 정복을 꿈꾸는 닥터 그랜마!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을 관찰하다 보니 인간들은 개와 참 친하더군. 최근 ... 교배만 하다 암이 잘 걸리는 친구들만 남았죠.사람들이 우릴 사랑하는 만큼 앞으로는 우리의 유전자 다양성에도 신경을 좀 써 줬으면 좋겠어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유지되는 원리를 밝혀냈습니다. 김 교수는 “이 해를 생체 회로에 대입하면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생체 회로는 주로 호르몬과 신경으로 이뤄지는데, 이를 조절하는 게 ‘음성피드백’입니다. 어떤 물질이 필요 이상으로 나오면 음성피드백이 강하게 ... ...
- [과학뉴스] 정액, 수컷의 치명적인 무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운반하는 ‘셔틀’인 줄만 알았던 정액이 실제로는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려는 수컷의 ‘무기’였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초파리 실험 결과 수컷의 정액은 암컷의 교미를 지연시키고 암컷이 알을 빨리 생산하도록 만들었으며, 심지어는 잠을 덜 자도록 해 수명까지 단축시켰다.물론 ...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것을 저해하는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발생’에 발표했어요. 즉,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게끔 도와주는 miRNA를 발견한 거죠.그: 단백질은 아니지만,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군요. 그럼… (눈을 희번득하게 뜨며) 결과적으로 당신 피를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주장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다. 그걸 의식해서인지, 시롯 교수팀은 논문에서 이성 간 유전자 경쟁을 ‘갈등’으로만 해석하지 않는 시선도 있다고 소개한다. 수컷과 암컷이 경쟁한 덕분에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었다는 관점이다. 암컷이 수컷의 정자를 보관하는 것도 종 전체로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크게 몇 가지로 나눴는데, 그중 첫 번째는 친족 선택이다. 가족, 친지같은 가까운 사람의 유전적 연관도 r이 c/b보다 클 때 상대를 믿고 협동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종류는 응징에 의한 협동이다.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반복하면 어떻게 될까. 처음에는 배신과 반복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던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트레드밀(런닝머신)로 운동했다). 그리고 이틀 후 정상 쥐와 UCP-1을 만들 수 없는 유전자 조작 쥐의 사타구니 쪽 백색지방에서 UCP-1의 양을 확인했다. 그 결과 UCP-1의 양은 정상 쥐가 최대 10배 높았다. 운동으로 UCP-1을 만드는 갈색지방이나 베이지색지방을 늘릴 수 있다는 의미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크리스퍼를 이용한 연구는 유전병을 정복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태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일 등은 생명윤리에 어긋나므로 무조건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생명과학자 16명과 미래 생명과학자 1000명의 토론행사에 참석한 학생들의 열기는 식을 줄 몰랐다. 정해진 질문 시간이 끝난 뒤에도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