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유행할 바이러스를 100% 정확하게 안다는 건 불가능하다”면서도 “변종 바이러스들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는 등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물론, 백신이 만능이 아니라고 해서 맞지 말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백신은 여전히 최선의 독감 예방책이다. 4가 ...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재커리 에덜먼 교수팀이 우리의 성을 결정하는 유전자 ‘닉스’를 밝혀냈어요. 그리고 유전자를 조작해 암컷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죠. 이렇게 가다간 우리 아들, 손자는 여자친구를 사귈 수 없게 될지도 몰라요.모기야, 사람들이 밉지 않아? 나랑 함께 지구를 정복하자!사람들이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구성원이 바뀌는 전형적인 이합집산의 사회구조를 가져요. 보통 어미와 새끼 사이 같이 유전적으로 가까운 소규모의 돌고래들은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같이 움직이지요. 이런 소규모 돌고래 무리들이 필요에 따라 모여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해요.수컷 돌고래들이 짝짓기를 위해 뭉치는 경우도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데 필요한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와 유전체를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로 이뤄져있는 비세포성 생물이다. 이 단백질 껍질을 ‘캡시드’라 부른다. 캡시드는 ‘상자(Capsa)’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이다.그러나 무엇보다도 바이러스가 세균과 다른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화합물에 비해 대량생산이 어렵다. 가령 미국 UC버클리대 화학공학과 제이 키슬링 교수가 유전자를 편집해 개발한 아르테미시닌 합성 미생물은 현재 아르테미시닌 수요의 3분의 1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전통약물 지식도 중국에 못지않다. 우리나라에도 식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실제 혈관과 모양과 기능이 완전히 달랐다. 세포가 자라는 환경에 따라 표현되는 유전형이나 세포의 움직임이 완전히 달랐던 것이다. 전 교수는 “체내 물질 대사는 대부분 농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데, 혈관이 3차원이어야 이것을 모방할 수 있다”며 “암 연구를 할 때도 암세포가 혈관벽을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난 9월 3일 방문한 경북대 캠퍼스에서만 벌집 5개가 발견됐다.최문보 경북대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연구교수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2010년 부산 도심에 살고 있는 말벌 중 95%가 등검은말벌이었다. 최 교수는 “경상도 지역은 이미 도심에 등검은말벌집이 가득하다”며 “서울 지역은 아직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협상’이라고 부릅니다.”숙주세포와 바이러스는 유전자 발현을 바꾸거나, 변이된 유전자를 선택해 마치 휴전을 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증식속도를 늦추는 대신 숙주의 몸속에 장기간 증식할 수 있고, 숙주는 최소한의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대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 ...
- [과학뉴스] ‘딸내미’는 여름에 태어날수록 건강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령, 성인이 됐을 때의 신장과 체질량지수(BMI)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영국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바이오뱅크’에 보관된 45만 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BMI를 제외한 태아의 체중, 초경 연령, 성장 후 신장은 태어난 계절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8월에 태어난 아이가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입맛을 만족시키는 게 목적이기 때문. 예컨대, 가까운 친척 간 교배가 계속될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태어나는 등 ‘근교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번식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