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중"(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산모뎀 FCC규격 획득과학동아 l1988년 05호
- 갖추고 있고 펄스다이얼링 및 MFC다이얼링 방식이 모두 가능한 공중선용이어서 미국내 공중전화망 가입자들의 수요가 크게 기대된다는 것.금성반도체는 이번 2종의 모뎀이 FCC규격을 획득한 것을 계기로 4월부터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의 본격 수출에 나설 예정인데, 올해말까지 2400bps 모뎀 ... ...
- 공중팩시밀리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우선적으로 설치한 후 이를 점차 확대 공급할 예정. 공급시기는 내년 중으로 예상된다.공중팩시밀리가 공급되면 소규모업체 등은 별도의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이를 통해 문서통신을 할 수 있다 ... ...
- NASA 수직 이착륙기 풍동실험장 완성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종래의 풍동으로는 어려웠던 VTOL이나단거리 이 착륙기 ‘스톨’ 또는 헬리콥터와 같이 공중에 정지할 수 있는 비행기 로터크래프트 등의 실험이 쉽게 되었다. 유체역학이나 음향공학등에 관한 기초실험도 중요한 한 역할이다. 그밖에 오리엔탈 익스프레스 등의 비행기 설계에도 이용되고 있고 ... ...
- 「천리안」서비스가 다채롭게 된다 생활정보에서 전문정보로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통신서비스이다.개인용컴퓨터(16비트) 한대와 간단한 장비(모뎀 등)를 갖추고 우리나라 공중 정보통신망인 DNS에 가입하면,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증권시장의 개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농수산물정보 문화정보 기상정보를 파악해 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경제연감을 뒤지지 ... ...
- 최신예 전략폭격기 B-1B 38메가톤 화력의「하늘의 요새」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전자장비를 갖추었다. 또한 컴퓨터가 비행경로를 포함해 모든 기능을 체크한다.B-1B에는 공중발사 순항미사일, 단거리 공격미사일, 그리고 자유 낙하 핵폭탄 등 38메가톤에 해당하는 핵탄두와 폭탄이 실려있다. 미국 최대의 ICBM이었던 타이탄 II가 9메가톤, 그리고 10개의 MIRV탄두를 가진 MX미사일의 ... ...
- 첨단기술이 낳은 「전자눈」「전자귀」군축협상이행 검증할수 있다과학동아 l1988년 03호
- 발사돼 엔진이 점화, 가스가 분출되면 위성의 자외선탐지 카메라에 걸린다. 미사일의 공중비행은 지상의 거대한 레이다로 한 치의 오차없이 궤도를 확인한다. 다음 미사일에서 지상으로 송신하는 각종 비행자료는 정찰위성과 지상의 청음초에서 낚아채 암호를 해독해 분석한다.이처럼 지상에서 ... ...
- PART.2 핵무기의 종류 전략핵 떠받치는 세 기둥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원폭에 비해 폭발력도 크지만 무엇보다도 방사선을 많이 내는 특징을 갖는다. 원폭이 공중에서 폭발할 경우 에너지의 5%가 초기방사선으로 변하기만 수폭의 경우엔 폭발에너지의 약 절반이 초기방사선으로 된다.비키니에서 폭발한 수폭의 무게는 무려 20t. 따라서 군사적 실용성이 희박했다. 당시의 ... ...
- 연금술사의 몽상에서 화학공업의 핵심으로과학동아 l1988년 03호
- 물질이라는 견해는 1894년 '오스트발트'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20세기초 '하버'에 의한 공중질소고정법은 촉매의 진가를 확인시켜준 계기가 되었다.오늘날 촉매는 화학공업의 핵심기술로서 컴퓨터분야의 반도체칩과 어깨를 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합성화학에서의 촉매의 실용적 이용예를 보면, ...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의해 대항 한번 못하고 전몰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재래식 전투양상으로 보아서는 공중 1천8백피트 상공에서 전투기가 전함을 공격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던 것이다. 알려진 사실로는 독일군이 사용한 폭탄은 PC1400X (Fritz X)라는 무선제어 활공폭탄이었는데 재래식 폭탄을 개조하여 무선으로 ...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과학동아 l1988년 02호
- 핵실험에 의한 죽음의 재의 양을 훨씬 웃도는 정도이다. 이것이 한순간에 넓은 지역의 공중에 뿌려졌고 일부는 8천km나 떨어진 극동에까지 날아와 떨어졌다. 죽음의재 때문이라고 보이는 여러가지 이상은 오늘도 세계 각지에서 계속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87년2월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에서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