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와 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순식간에 공기는 다시 냉각되지만 그렇게 되기 이전에 열이 질소분자와 산소분자를
공중
에서 결합시켜 이산화질소를 만들어버린다. 이것이 물에 녹아(보통 이때 비가 내리고 있다) 질산이 만들어지며 일종의 산성비를 뿌린다. 질산이 땅에 도달할때 질산염으로 전환되고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며 ... ...
기업간 거래도 전산처리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신문 방송 보도진을 비롯하여, 스포츠 관련인들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WINS는 DACOM의
공중
정보통신망(DNS)에 연결되어 전 지구촌가족의 안방에 놓인 단말기에 올림픽의 순간순간을 바로 전달해 줄 것이다.이제 시작 단계정보통신의 발전은 가까운 미래에 가능한 몇가지 생활상을 우리에게 ... ...
공중
제비차,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1시간에 65~70마일을 낼수 있는 고속차이다.디자이너들은 앞으로 세계 여러곳에 있는
공중
제비차도 모두 이런 타원형으로 만들어야 보다 안전할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 ...
대자연과 인체의 합창같은 매력에 끌려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확신한다.아직까지 남아있는 문제로는 의료기사(임상병리사 X레이기사 등) 지휘권(權),
공중
보건의(한의학과 졸업생의 군복무 문제 관련된 문제, 현재 한의학과 졸업생중 극히 일부만 군의관이 된다). 한방의료보험 미비점 보완 등이 있으나 가까운 장래에 해결되리라 믿는다.최근의 한의학 연구는 ... ...
휴대용 전화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사무실밖에서 업무상 전화를 건다는 것은 끔찍스러운 일이었다. 이리저리 헤매면서
공중
전화 박스를 찾아 동전을 한손에 가득 움켜쥔채 전화를 걸어야 했으나 셀방식 카폰을 장만한 이후에는 이런 번거로움에서 해방 되었다.지난 1월에는 법정에서 변호의뢰인이 복잡한 사건을 다루다가 중요한 ... ...
최고(最古)의 날짐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했을 것이다. 시조새가 껑충 뛸 경우 그것은 깃털이 표면적을 좀 더 넓게 해주기 때문에
공중
에 좀 더 오래 머무를 것이다. 만약 그가 나무에 오르거나 뛴다면 깃털은 새로 하여금 좀 더 먼 거리를 퍼덕거리며 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이는 대단히 유용했을 것이다. 보다 높고 멀리 뛸수록 자기를 ... ...
프랑스 AGROS시스팀 국내소개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담고 있는 용기도 각기 다르다. 예컨대 기상정보를 원하는 경우에는 기구(氣球)를 띠워
공중
에 PPT를 설치하며, 해류의 움직임 등을 알고 싶을 때는 바다에 떠다니는 부표(浮標)를 이용한다.설치된 PPT는 전파를 내어 자신의 위치를 인공위성(NOAA)에 알리게 되고 이를 수신한 인공위성이 다시 프랑스의 ... ...
기상의 인공조절, 이상과 현실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쉐퍼'(J.V.Schaefer)씨이다.이사람은 1946년 11월13일 미국 뉴욕의 교외에서 비행기를 타고
공중
에 올라가서 구름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뿌려 최초의 실험에 성공한 바 있다.그후 인공강우기술이 점점 발전되어 1960년대에 들어서는 미국에서 인공강우를 실시함으로써 약 17%의 비를 더 내리게 할 수 있다는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나뭇결 등이 남아 있는 암석, 화산탄은 화산이 폭발할 때 화구에서 치솟아 올라간 용암이
공중
에서 회전하면서 떨어져 방추형(紡錐形) 또는 접시모양 등의 형태로 된 것이다.자연사전시실의 지질코너에서 제주도가 어떤 섬인가를 알아본 관람객들은 곧이어 신기한 해양 생물들과 만나게 된다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때문에 숫컷 안굴라타 반딧불이 암컷으로부터 받았을 때 곧바로
공중
에서 떨어진다음 기어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는 곤충세계의 생존을 위한 머리싸움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안굴라타 반딧불이 자기방어를 위해 익힌 노하우가 그런 행동을 취하게 한 것이다.|표시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