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능력"(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시험을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힘을 내서 열심히 공부하면 좋겠지만, 지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에 우쭐해하기만 하고 정작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걱정은 항상 쓸데없는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일례로 걱정을 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전사억제력이 떨어진 결과이고 RT078은 ptsT 유전자를 획득해 트레할로스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다. - ‘네이처’ 제공 트레할로스 대사 과정에서 독소 많이 만들어져 그렇다면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클로스트리디움의 고병원성은 정말 트레할로스를 먹이로 섭취한 결과일까. 사람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과거를 돌아보며 자신을 성찰하고 머나먼 미래를 상상하며 계획을 세우는 뛰어난 능력의 한 가지 부작용으로, 우리 인간은 과한 질책과 불안을 떠안게 되었다. 실제로 생각에 잘 빠지고 하루에도 몇 번씩 마음이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비교적 불행하다는 연구 결과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특성(얼굴이 길쭉한), 소속 집단 (여성/남성, 한국인, 동양인), 능력(손재주가 좋거나 계산 능력이 좋거나), 선호(체식주의자, 자연주의 등), 목표(ㅁㅁ가 되고/하고 싶은), 기억(2007년 여름), 관계(ㅁㅁ의 친구) 등이 흔히 관찰된다고 한다. 여러분의 자기 개념은 어떤 모습인가? 자기 개념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몰라도 영 불편할 것이다(효율이 낮은 효소). Aldh2 변이형이 하나라도 알데히드 분해 능력이 50%가 아니라 17%인 이유다. 따라서 이런 사람이 매일 와인 한 잔을 마시는 건 표준형인 사람이 매일 와인 한 병을 마시는 꼴이다. 건강에 좋을 리가 없다.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이런 사람들은 차라리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오늘날 SF 소설의 선구가 된 괴기소설 프랑켄슈타인이 나온 건 1818년이다. 인간과 똑같은 능력을 갖춘 기괴한 형상의 거대 인조 인간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펼판으로 구성된 이번 호에선 인조인간 프랑켄슈타인을 구현하는 데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특성에만 휘둘리지 않고 마음에 항상 어느 정도의 차분함과 이성을 남겨놓을 수 있는 능력이니 말이다. 어느 정도 평정심을 되찾을 수 있을 때 문제 해결도 더 빠를 것이다.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 사람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불행한 상황 속에서도 순간순간 웃으며 기쁨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변이가 있을 경우 능동적인 망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회성(융통성)이나 학습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 기억 품질 관리는 자기 하기 나름 이처럼 고유망각을 비롯한 다양한 능동적 망각에 더해 수동적 망각까지 갖추고 있음에도 연말에 ‘망년회’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투자하고 있다. 그리고 모두 자율주행자동차가 개발되면 보다 안전하고, 깨끗하며, 이동 능력이 뛰어난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저널에서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기술 개발과 달리, 자율주행자동차가 사회적 또는 경제적, 환경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고 꼬집는다. ●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예언을 현실로 만들곤 한다 (Murray et al., 2002). 반면 자존감이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 능력이나 성격, 도덕성 등 중요한 부분에 있어 상대방을 실제보다 더 좋은 사람으로 지각하는 긍정적 편향을 보인다. 따라서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다양한 관계에서 관계 만족도가 높은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