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능력"(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말이다. 자기 입증(self-verification)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성격, 지적능력, 장단점 등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피드백을 주는 사람들에게 더 큰 호감을 느끼는 경향을 보인다(Swann & Brooks, 2012). 한 가지 이유는 상대가 자신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스스로가 정확하다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결과를 얻었다. 즉 사람보다는 감소폭이 덜하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성체 신경생성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다만 이 논문은 사람 시료에 약간 문제가 있다. 14주 태아부터 77세 노인까지 59명에서 시료를 얻었는데 대다수가 심각한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이고 12명은 중증 뇌전증(간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탄수화물 제한 식단을 운동선수에게 적용한 결과 오히려 역효과를 본다. 선수의 능력을 끌어 올려주는 새로운 방법 중 식단과 관련된 변화는 오히려 상황을 망칠 수 있다 - 사진 GIB 제공 예를 들어 지난해 학술지 ‘생리학저널’에는 경보선수들을 대상으로 식단이 기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것이다. 예컨데 똑똑하고 성실하고 자신감 있지만 싸가지 없는 A씨와 게으르고 능력은 좀 별로지만 사람은 참 좋은 B씨 중 사람들은 후자에게 더 큰 호감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바람직한 특징들을 잔뜩 가지고 있어도 적어도 자신에게 있어 차가운 사람이라면 이 사람은 결국 나쁜 사람이라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일반인 수준의 안타까움을 갖지만, 여성에 한해서만 선택적으로 높은 공격성과 낮은 공감능력을 보이므로, 성범죄자들에 대해 주변 남성들로부터 ‘저 사람은 그럴 사람이 아니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주변 남성들은 해당 범죄자가 여성에 한해 내보이는 폭력성을 볼 일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다른 사람들도 그런 줄 알았는데 대중매체에서 공감각을 다루면서 점차 자신이 특이한 능력을 지닌 걸 알게 됐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솔직히 공감각 소유자가 그렇게 흔하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지금까지 살면서 주변에서 공감각이 있다는 사람은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10년 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이라는 이야기를 듣곤 한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내에게만 선택적으로 낮은 공감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 아내를 제외한 타인에게는 평범하거나 따듯하고 이해심 많은 사람인 것이다 (Schweinle et al., 2002). 그렇다고 해서 이 사람이 학대적인 배우자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사람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있다”며 “인지적 유동성의 핵심은 기존 소재나 규칙 등을 가지고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인 창조성인데, 이것을 네안데르탈인이 지니고 있는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등의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자신과 싸워 이길 수 있는 능력은 인간답게 살기 위해 중요한 기술인 동시에 그 자체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아주 피곤한 일이기 때문이다(Baumeister et al., 2007). 최근 사회 및 성격심리과학지(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실린 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과감한 도전을 하기가 어려워지는 등 (Galinsky et al., 2008) 가난 자체가 사람의 건강과 인지능력, 성격적 측면에 심각한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가난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pixabay 제공 최근 실험사회심리학지(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