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것이 바로 옛 사람들이 산줄기를 표시했던 방법이다.백두산을 한반도의 중심이자
출발
점으로 인식한 산경표의 존재가 1980년대 초부터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산 인식체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아울러 현재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다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출발
하여 꼭지점을 몇 개씩(그 수는 일정) 건너 차례로 이어서
출발
점으로 되돌아오게 될 때 이루어지는 도형하나의 공통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분지(分技) 사슬을 세 개 이상 가지고 있는 중합체시공세계의 기하학적 관계를 논하는 분야 특수상대성이론의 범위에서는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당시 자동차와 확연히 달라 유명인들이 앞 다퉈 구입하겠다고 나설 정도로 순조로운
출발
을 보였다. 피스톤 엔진은 더 이상 이전의 명성을 유지하지 못할 것 같은 분위기였다.하지만 복병이 있었다. NSU 모터는 Ro 80이 완벽하고 앞선 기술을 구현한 로터리 엔진을 장착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춰 시장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향해 레이저 포인터를 쏠 예정이다.그 빛은 지구 한바퀴를 돌아 24시간 뒤에 정확히
출발
지인 프린스턴으로 돌아오게 된다. 2005명의 과학 영재들을 각국에서 선발해물리 대사로 임명하는 것도 국제적으로 중요한 프로젝트다.한국에서는 어떤 것들이 준비되고 있나한국에서는 앞서 언급한 행사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인기는 더욱 올라갈 전망이다.1994년 당시 2기의 빔라인(빛이 나오는 곳)으로
출발
한 포항방사광가속기는 2004년 현재 빔라인이 23기로 늘었다. 모두 2200여개의 첨단 연구가 이곳에서 이뤄지고 있다.이 중 과학기술부 창의연구단의 하나인 생체분자인지연구단 오병하 교수(포항공대 생명과학과)는 2003년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을 때 버스의 손잡이는 연직선상에 있다. 그런데 만약 버스가
출발
해 점점 속도를 내는 가속도 운동을 한다면 버스 손잡이는 뒤로 쏠릴 것이다. 뒤를 아무리 살펴봐도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할만한 대상이 없는데 말이다. 그래서 이런 관성을 가짜 힘이라고 한다.그런데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들은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이들이 이용한 원리는 바로 아인슈타인에서
출발
한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이듬해인 1917년 ‘방사(Radiation)의 양자역학 이론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광자가 흥분한 원자, 즉 높은 에너지의 원자를 자극하면 원자는 똑같은 광자를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지구에 오니 자꾸 생각이 많아지네요. 난 어쩔 수 없는 지구인인가봐요.”“그럼 이제
출발
할까요?”“한 군데만 더 둘러보고 가면 안 될까요? 창녕에 있는 우포늪이라는 곳인데 유치원 때 공룡화석을 보러 갔던 생태공원이에요. 거기도 이렇게 변했는지 궁금해요.”“아마도 지구 어느 곳이나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몇분후 목표에 도착하면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내온다.
출발
에서 임무수행, 도착까지 모두 프로그램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한 치 오차도 없다. 비행 중에도 비행지역, 고도, 속도, 상황에 따라 비행방식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무게 6kg, 날개 길이 2.72m, 몸길이 1.55m의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현주소를 소개한다. 생체분자를 모방하거나 그 아이디어에서
출발
해 만든 분자기계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과연 이들이 영화에 나오는 나노기계처럼 발전할 수 있을까.생명체만큼이나 감도와 정확성이 높은 바이오센서의 개발도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중요한 한 분야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