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일본을 방문하기 위해 1922년 10월 8일 기타노마루 호를 타고 마르세이유 항을
출발
했다. 그리고 11월 13일 상하이를 거쳐 11월 17일 오후 4시 고베 항에 들어섰다. 40일에 이르는 긴 항로였다. 고베 항에 들어설 때 이미 그에게는 상대성 박사라는 타이틀 외에 노벨상 수상자라는 타이틀이 하나 더 달렸다 ... ...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익히 알려졌듯이 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자동차는 전기를 사용하는 충전식 자동차.
출발
조차 못하고 있는 동구리를 비웃으며 라이벌 신세기는 킥보드를 타고 앞서 가 버린다. 바비 장 역시 휴머노이드 김집사를 타고 무서운 속도로 달려가는데….“으악! 멀리서 잎새가 한심하다는 표정으로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못했다. 세계 최초의 기록을 세울 기회는 남아 있다. 시기도 좋다. 지난 비행보다
출발
시기를 앞당겼기 때문에 북극점을 찍고 남극점에 도착할 11월쯤에는 날씨가 한결 좋을 것이다.세계일주 재도전반디는 모든 준비를 거의 마쳤다. 5000m 이상 높이 비행한다면 더 이상 얼음 폭풍에 착빙될 염려가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유럽의 런던과 파리, 로마를 차례로 지나 이집트 카이로 상공을 날 계획이었다. 그러나
출발
직전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 모로코와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 하늘을 거쳐 중동의 바레인, 인도의 캘커타, 중국의 상하이와 일본 도쿄를 지나갔다. 이어 태평양을 통과한 뒤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거쳐 다시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올라있다. 전파도 아껴쓴다1934년 출범한 국제전기통신연합(ITU)도 바로 이런 배경에서
출발
했다. 공동자원인 전파를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상호간에 원활한 통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각국 정부가 서로 협력하자는 것. ITU는 매년 정기 총회와 수시 회의를 통해 각국의 입장을 절충하고 있다. 각국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범선은 1519년 8월 세계 일주를 목표로 스페인 세비야를 힘차게
출발
했던 마젤란함대의 다섯 척 가운데 하나일지도 모르겠다.태아별은 어디에 있을까. 천문학자들은 검고 길게 이어진 먼지 띠에서 아직 태어나지 않은 2500개 이상의 태아별을 찾아냈다. 태양보다 가벼운 이들은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초고속 휴대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세 회사는 신규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발
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유선 서비스 사업자였던 KT나 하나로텔레콤은 무선시장 진입의 기회로, SK텔레콤은 4세대 이동통신으로 가는 중간다리로 와이브로를 보고 있다.물론 휴대인터넷이란 개념은 한국만의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한다. 국내의 지진관측망은 1990년대 후반부터 확충되기 시작했으며, 지진연구는
출발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진연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우선돼야 하며, 이를 운용할 독립된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현재 기상청, 지질자원연구원 등 소그룹으로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RNA가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약 40억년 전. 초기에는 단순히 자신을 복제할 수 있는 분자로
출발
해 무수한 진화과정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다양한 생물체를 탄생시킨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진화를 보는 관점도 형태와 같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자연현상의 기초단위인 분자수준의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것이 바로 옛 사람들이 산줄기를 표시했던 방법이다.백두산을 한반도의 중심이자
출발
점으로 인식한 산경표의 존재가 1980년대 초부터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산 인식체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아울러 현재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