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국내 염료 감응 태양전지 기술은 준양산 단계에 와 있다. 10월 17일 오전, 서울 성남시에 위치한 차세대 태양전지 제조기업 동진쎄미켐 판교연구소에 찾아가 직접 제품을 살펴봤다. 연구소에 들어서자마자 먼저 주황, 파랑, 초록 등 오색찬란한 태양전지 창이 눈에 들어왔다. 이런 창은 스테인드글라스 ...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4월 26일 저녁 독일의 3차원 기상도가 만들어졌어요. 이 3차원 기상도를 보면, 구름의 위치와 높이는 물론 강수량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흙빛은 독일의 지형이에요. 그 위의 노랑, 초록, 파란색은 구름을 나타내죠. 구름의 색깔이 노랑에서 파란색으로 변할수록 더욱 많은 비를 뿌리고 있다는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면역 항암 치료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리핑 첸 교수다. 그는 1999년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메이요 클리닉의 한 연구실에서 T세포의 활성을 연구하던 중 암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 억제 단백질인 PD-L1을 발견했다. 주로 암세포나 항원표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PD-L1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난 4년 전 울산에 위치한 고래연구센터 뒷마당에 묻혔어. 이후 4년 동안 이곳에서 잠자고 있었지. 누가 대체 왜 날 이곳에 묻었냐고? 4년간 묻혀 있던 참고래, 빛을 보다!지난 3월 14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뒷마당에 연구원들이 모였어요. 4년 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던 참고래 골격을 꺼내기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테나에서 전자기기로 흐르지만, 안테나와 전자기기가 별도의 통신을 이용해 자신들의 위치 정보를 계속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역지향성 안테나(retrodirective antenna)’라고 한다.이때 만약 안테나와 전자기기 사이에 사람이 있다면 안테나는 사람을 회피해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다시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한다. 레이저를 쏘면 입자가 마치 자석에 철가루가 끌려가듯이 초점 위치에 잡히게 돼 있어 빛의 초점(약 1μm)보다 큰 입자는 정교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초점을 스캐너, 홀로그래피 등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입자도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다. 원하는 장소에서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유전자들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현되는지 밝힐 수 있었다”며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기간이 대폭 단축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쉽게 말하면 이번 밀 게놈 해독으로 밀의 수확량, 맛, 영양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월 10일(현지 시간)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에서 북동쪽으로 60㎞가량 떨어진 카다라쉬에 위치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본부. 안전장비를 착용한 뒤 차에서 내려 10여 분을 걸어 들어가자 축구장 60개 규모(42만m2)의 건설 현장이 눈앞에 펼쳐졌다.기체 저장탱크를 지나 본관으로 들어서자 지름 28m,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죽이는 겁니다. 또한 줄기세포들이 분화하지 않고 줄기세포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줄기세포의 주변 세포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 ...
- [과학뉴스] 명왕성, 태양계 9번째 행성으로 복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과거 연구들은 소행성이나 (태양계 끝자락에 위치한) 카이퍼벨트 천체들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된 만큼 현재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doi:10.1016/j.icarus.2018.08.62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