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KASS를 이용하면 기존의 GPS 오차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며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해외현장 취재 ➍] 엑소마스 로버 출격 준비! ESSP가 있는 B612 건물에서 차로 수 분만 이동하면 에어버스 D&S에 다다라요. 에어버스 D&S는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약 위성 시계마다 1초를 재는 데 100만분의 1초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받는 위치정보는 300m나 틀리게 된다. 다른 하나는 길이나 무게 등을 재는 자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질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과거 미터를 측정하는 기준이었던 국제미터원기는 백금 90%와 이리듐 10%를 합금해 만든 1m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찰싹~이나 띠용~ 같은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려면 수학이 중요합니다. 일단 탈리의 위치를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하고, 탈리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있으니 탄성, 작용과 반작용, 관성과 가속도 등을 적용해야 하죠. 그런 뒤 상수들을 조절해가면서 느낌이 좋고 자연스러운 결과가 나오도록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NASA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시작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임무는 끝났지만, 외계행성 탐색은 계속된다. 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행성 사냥꾼으로 올해 4월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닥터 허준에는 혁신적인 기술이 여럿 도입됐다. 가장 특색 있는 기술은 카테터의 위치를 알려주는 가상현실(VR)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2차원 수술 영상을 카테터의 3차원 공간 정보로 변환해 집도의에게 제공한다. 또한 연구팀은 닥터 허준을 처음 접한 의사가 수술에 익숙해질 수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경우도 있답니다. 자자, 관람객들이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보안 요원 여러분, 어서 위치로 돌아가세요! 작품인 척 위장할 필요까진 없지만, 여러분이 이해하세요. 우리가 원래 좀 유난이거든요. 앗, 수상한 사람이 보입니다! 훗, 사각지대라고 생각했겠지만, 수학적으로 배치한 우리 보안 요원의 ... ...
- [수학공작실] 스피로그래프로 만든 무늬 드림캐쳐에 딱 걸렸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언들은 어린 아이를 보호하고 좋은 꿈을 꾸게 해 달라는 의미로 잠을 자는 곳에 ‘드림캐쳐’를 걸어 뒀다고 합니 ... 고르는지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곡선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작은 원의 원주에 위치한 점이 그리는 곡선을 ‘하이포사이클로이드’라고 한다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많이 든다는 점과 해수면 높이에 차이가 없을 때 가동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발전소의 위치 선정이 까다롭다. 발전소 건설 시 생태계가 파괴된다는 것 역시 단점이다. 현재 경기 안산시 시화호 방조제 중간에 있는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다. 파력발전은 바람에 의해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비행에 적합한 날개깃을 가졌다. 비대칭인데다가 가장 긴 날개깃이 날개의 끝 쪽에 위치한다. 올해 3월 체코 팔라츠키대의 조류학자인 데니스 보텐 연구원팀은 시조새의 날개 뼈 단면 형태를 자세히 분석한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시조새 뼈를 69종의 현생 새와 각종 육식 공룡, 초식 공룡,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기를 얻지 못하는 것도 이유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한 산 사이의 계곡에 위치하고 있어 북극에서 내려온 차가운 공기가 땅에 계속 머무르기 때문이다. 인간이 상주하지 않는 지역까지 포함하면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남극이다. 1983년 7월 남극에 세워진 러시아의 보스토크기지는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