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때문이다.점토가 주성분인 흙벽돌은 물을 섞으면 입자들 속의 빈 공간이 없어지면서
밀도
가 높아지고 이후 물이 증발되면서 입자들이 단단해진다. 그러나 시멘트는 기존 건축재료인 흙벽돌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건축재료이다. 시멘트는 수화작용으로 물과 결합하면서 강도를 주는 칼슘실리케이트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5월에는 해가 진 후 서쪽하늘을 보자. 밝은 별이 하나 둘 보이는 때 가장 밝은 두‘별’이 바로 태양계의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이다. 진짜 밤하늘에 대해 아무 것도 ... 지나지 않는다. 고리 사이 틈새는 위성의 중력에 의해 생긴 것으로 텅 비어있지 않고 상대적으로
밀도
가 낮은 지역이다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등을 이용, 각종 자료를 입수한다.탐사의 하이라이트는 ‘에어로젤’이라는 특수 저
밀도
소재가 담긴 테니스 라켓 모양의 흡착기를 펼쳐 혜성에서 떨어져 나오는 입자를 흡수는 작업이다. 에어로젤에는 수천분의 1g 정도의 입자가 모일 것이다. 아주 소량이긴 하지만 1천여개 이상의 입자만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976년 바이킹 1·2호의 탐사 결과가 말해줍니다.화성 표면에는 지구의 10분의 1 정도의 대기
밀도
가 있고, 드라이아이스 비슷한 극관이 깔려있다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물이 흘러나온 흔적 사진이 많이 발견돼서 조금만 가공하면 살 수 있는 조건이 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을 심어줍니다. 1999년에 ... ...
경복궁(景福宮) - 근정전에서 소리가 잘 퍼지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경복궁과 같은 색다른 곳에서 해본다면 과학에 흥미가 없는 이에게 좀더 과학에 친
밀도
를 높일수 있지 않을까. 과학은 전통문화나 우리 생활속에서 녹아 들어있다는 것을 느껴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과학을 특히 좋아해 다른 분야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도 시야를 넓힐 수 있다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전통가마에서 우리 선조들이 불을 어떻게 다뤘는지를 엿볼 수 있다. 도자기 빛깔의 비
밀도
예마을 탐방에서 가장 큰 즐거움은 직접 도자기를 만들어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를 위해 해강도자미술관 맞은편에 위치한 ‘동해도요’라는 곳을 찾아갔다. 물레로 도자기를 빚어보고 직접 글과 그림을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우유 속의 지방 입자가 불규칙하게 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이
밀도
차나 농도차에 의해 스스로 운동해 다른 곳으로 이동해 가는데, 이는 분자들이 정지해 있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바슐리에는 주가의 변동을 이와 같은 분자의 운동으로 파악한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촉각센서들이 분포해 있다는 얘기다. 피부에 분포한 촉각 센서들은 부위에 따라서 분포
밀도
가 다르다. 즉 정밀한 감도를 요구하는 손가락 끝과 같은 곳에는 센서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고, 이와 반대로 발뒤꿈치와 같은 곳에는 적은 수의 센서가 존재한다. 압력과 같은 물리적 에너지, 온도에 의한 열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렇게 대용량 제품을 싸게 구입할 수 있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디스크당 데이터 기록
밀도
가 높아졌기 때문이다.하드디스크는 플래터라고 부르는 얇은 알루미늄 원판에 자성체를 코팅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전자석과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자기헤드를 이동시키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다. 또한 매의 황반에는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데 이
밀도
는 인간의 약 다섯배 정도다. 따라서 매는 훨씬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이들을 정확히 볼 수 있다.매의 눈이 아무리 날카롭다고 해도 최고는 아니다. 매는 밝은 빛 아래서는 놀라운 시력을 뽐내지만, 해가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