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송전철탑 없는 고효율 전력기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전송 케이블이 늘고 있지만,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도심의 인구
밀도
가 높아지면서 전력 소비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거미줄처럼 얽힌 케이블 해결이렇게 증가하는 도심의 수요 전력을 해결하기 위해 지중 케이블을 대용량화하는 방법 등을 택하고 있지만, 도심의 ... ...
최초 복제 광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같은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같은 유도방출은 레이저에서 이용돼 좁은 영역에 높은
밀도
의 빛을 쏘는 광증폭이 가능하다.라마스-리나레스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양자시스템을 복제하는 방법을 보여준 최초의 실험”이라고 설명했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원자가 더 많이 기체화되면 높은
밀도
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얻은 기체 원자의
밀도
는 BEC와 비슷하다.실온의 실질적인 문제는 도플러효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EIT의 두빛을 같은 방향에서 쏘아준다. 그러면 두빛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도플러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시도 진공에너지는 밀어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우주를 가속팽창시키고, 우주 전체
밀도
의 모자라는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고 진공에너지가 만능일까. 아니다. 진공에너지는 우주에 처음 생긴 후 양이 일정한 물질과 달리 우주공간이 늘어나면 양도 함께 늘어나는 괴상한 성질이 있다.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매우 높은
밀도
와 온도 때문에 빛과 물질이 뒤엉켜 있었다. 우주가 팽창하면서 우주의
밀도
와 온도는 낮아지고 빅뱅이 일어난지 30만년 후 빛과 물질이 분리되는데, 이때 최초로 물질을 빠져나온 빛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당시 3천K(절대온도 K= 섭씨온도 ℃+273.15)였던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표면의 가스는‘증발’돼 아주 천천히 성운을 빠져나간다. 하지만 기둥의가스는
밀도
의 차이 때문에 동시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가장 큰 기둥 꼭대기를 보자. 증발되지 않고 남은 밀집된 가스지역이 독수리 발톱처럼 뻗어 있다. 바로 발톱 끝부분에 성운 곳곳에서 잉태된 별을 품은‘알’들이 들어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실제 관측됐다. 물질의
밀도
가 우주배경복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초기
밀도
의 이런 불균일함은 후에 은하나 은하단으로 자라났다.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어디에서나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특정한 중심이 없다. 또 빅뱅 이후 ${10}^{-35}$ 초 후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우주가 ${10}^{30}$ 배 이상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쌓을 수 있을까. 설탕을 다른 농도로 녹여 각각의 물의
밀도
를 다르게 했기 때문이다.
밀도
가 높은 물부터 바닥에 붓고 물이 섞이지 않도록 천천히 농도가 낮은 물을 그 위에 부으면 된다.무지개 물탑을 다 만들고 사진을 찍는다. 저런. 눈으로 보면 아름다운 무지개 물탑이지만 사진을 찍으면 물 ... ...
돌아라 돌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돌아간다.돌아가는 종이뱀■ 왜 그럴까?양초에 불을 붙이면 그 주변의 공기는 따뜻해져
밀도
가 작아진다. 따라서 가벼워진 공기는 위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촛불의 위쪽에는 위 방향으로 공기 흐름이 계속된다. 이것은 일종의 바람과도 같다.바람을 맞으면 바람개비가 회전하는 것처럼 종이뱀은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저항력은 축구공이 공기를 뚫고 날아가기 때문에 생긴다. 공의
밀도
가 일정하고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면 공이 받는 저항력은 공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그렇다면 공의 속도가 빠를수록 저항력이 마냥 커질까. 그렇지 않다. 저항력은 생각만큼 단순하지 않다. 저항력과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