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똑같은 방법으로 죽였답니다) 마침내 아버지를 만난 테세우스.그런데 마지
막
으로 해결해야 할 괴물이 남았으니 바로 소의 머리에 인간의 몸을 가진 미노타우로스였어요. 미노타우로스는 다이달로스라는 장인이 만든 미로 속에 갇혀 있는데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해서 한번 들어간 사람은 다신 살아서 ... ...
환경과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없이 살아갈 수 있게 해 준다.코콧구멍을 여닫을 수 있어 모래가 콧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
아 준다.지구가 멸망해도 우리는 살아남을걸?생물학자들은 지구가 멸망해도 살아남을 수 있는 생물이 바퀴라고 이야기합니다. 먼 옛날 지구를 점령했던 공룡은 다 멸종했어도 바퀴는 살아남아 현재의 ... ...
한 여름에 눈 내리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외계인이 준 양자순간이동기를 타고 건우네 집으로 온 것이지요. 건우는너무놀라누나를
막
불렀어요. ‘정원누나아~’. 소리를 듣고 달려온 정원이는 너무 놀라 눈만 껌뻑 거렸답니다. ‘너무 덥지?’‘우리 시원하게 눈 맞으며 놀까?’ 다운이와 겨운이가 정원이와 건우에게 말을 걸었어요.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훌륭한 업적임에 틀림없다.그러나 황우석 교수가 직접 말했듯이 이제까지의 성공은 1
막
에 불과하다. 실용화되기까지는 아직 많은 산을 넘어야 한다. 그리고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황 교수팀뿐만 아니라 과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용하는 광전변환소자 황화납·황화카드뮴·셀렌화카드뮴 등의 재료를 박편(薄片) 또는
막
상(膜狀)으로 만들어 사용한다적외부에서 작동하는 것도 있다 반도체처럼 빛이 닿으면 빛의 에너지를 흡수해서 전하(電荷)를 나르는 하전체(荷電體)의 양이 증가하고 전기 전도도(電氣傳導度)가 증가하는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긴 전극을 두 개 뽑아 세포에 대고 살짝 빨아들이면 세포
막
이 전극 사이에 고정된다. 세포
막
에 있는 이온채널에 전류가 흐르면 이를 증폭해서 모니터로 볼 수 있다. 펄스가 발생하면 채널이 열려 전류가 흐른 것이고, 펄스가 없으면 채널이 닫힌 것이다. 이 원리를 이용해 오 교수는 캅사이신채널의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결과 창투사의 투자심사역 가운데 이공계 전공자는 32%나 됐다. 투자심사역의 임무는
막
태어난 초기 벤처기업의 가능성을 판단해서 돈을 투자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직원이라고는 창업주인 사장과 선후배들, 재무제표는 제대로 만들지도 않고, 자산이라고는 검증되지 않은 기술과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하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마지
막
으로 앞의 두 방법을 섞어 날 수 있는 수컷과 깃털을 자른 암컷을 방사하는 방법을 썼다. 이 방법으로 암컷 2마리를 방사했다. 날 수 있는 수컷의 역할은 하치고로가 해줄 것을 기대하면서.황새고향공원은 방사된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니라 인류 차원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 그의 연구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인류가 이제
막
탄생지를 떠나는 역사에 해당할 것 같다. 또 김 박사가 연구하는 은하 진화는 세계 각지에 흩어진 인류가 살아가는 현장에 비유될 수 있겠다.이제 인류의 진화와 개인의 일생에 비유될 수 있는 7명의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때 깨달았죠. 마침 한국에서는 경제부흥을 위해 원자력연구가 필요하다는 분위기가
막
형성되던 때였어요. 주저 없이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하지만 장 고문이 1979년 3월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소에 왔을 때 연구여건은 너무도 실망스러웠다. 실험대는 나무상자를 쌓은 위에 비닐을 덮은 것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