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1/r에 비례하는 것으로 측정될 것이다. 반면 호스에서 멀리 떨어진 곳(B)에서는 물이 벽에
막
혀 벽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흘러가게 되므로 물의 세기가 호스에서의 거리와는 무관하게 일정할 것이다. 이는 부가차원이 있다면 물의 세기가 부가차원의 차원 수뿐 아니라 그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 중의 1%를 조금 웃도는 40여기에 불과하다. 체르냐치노 산성의 고분 발굴은 지금
막
시작한 것이나 다름 없다.지난 6월 정석배 교수팀은 다시 체르냐치노 산성으로 떠났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발굴단은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며 발해의 유물을 찾고 있을 것이다. 그들이 올해는 또 어떤 유물을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전기 전도체계의 기능 장애도 알 수 있다. 심장의 판
막
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는 심판
막
질환과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낭에 염증이 일어나는 심낭염도 파악할 수 있다. 고혈압이나 출혈성 심장쇠약과 같은 이유로 심장이 정상보다 커진 심장비대 현상도 알아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심근경색 후 경과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네모 선장과 아로낙스 박사뿐이라고 하면서 흥미진진한 대단원의
막
을 내린다. 지금 이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누굴까? 네모 선장과 아로낙스 박사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은 현재 미국의 여성 해양생물학자 실비아 얼과 프랑스의 해양탐험가 자크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지난 2004년 과학놀이 열풍을 몰고 왔던‘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체험전’이 2006년 3월 25일부터 8월 31일까지 국립서울과학관에서 또다 ... 벽을 만들 수 있는 것이지요. 비눗방울의
막
에 생기는 무지갯빛은 반사되는 빛이
막
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랍니다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엘니뇨 기간이 연속됨을 보여준다핵이나 세포기관이 없고 비교적 단순한 원형질
막
구조를 가진 생물 박테리아나 청록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단순 이분법으로 다음 세대가 형성되므로 세대간 또는 개체간 변이나 생물군 내 다양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핵을 비롯한 여러 세포기관들을 구비한 생물 ... ...
한국 최초의 우주실험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중력을 이기지 못해
막
이 금방 터지는 반면, 무중력 상태에선 표면장력만 작용해 튼튼한
막
이 생길 수 있다.또 우주공간에서 타는 불꽃은 지상 불꽃과 모양이 다르다. 연구자들은 무중력 상태에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켰을 때 콩알처럼 작고 둥근 불꽃을 여럿 발견했다. 이들 ‘불꽃공’은 약한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사이로 맨틀이 올라와 새로운 해양지각이 생겨났으며, 바닷물이 밀려들어 왔다. 동해가
막
형성되는 순간이다.대륙의 동쪽에 늘어섰던 지금의 일본은 대륙에서 분리되면서 대륙과 멀어져 동해는 점점 더 확장됐고 일본은 열도로서의 숙명을 맞게 된다. 남쪽으로 밀려 내려가던 일본열도는 적도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생산에도 유용하다 주물가공이나 기계가공 도중에 버려지는 쇳가루, 쇳밥 등의 손실을
막
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전기 컴퓨터 등의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로 엄밀하게 정의된 전문용어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회로의 요소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 반도체소자를 떼어내면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그의 꿈은 현실이 됐다. 당시 하버드대 천문대는 천체를 사진으로 찍어 관측하는 기술을
막
도입하던 시기였다. 조지 본드는 큰곰자리의 유명한 이중성 미자르의 사진을 찍었는데 이것은 세계 최초의 이중성 사진이었다. 두 여성의 시간을 초월한 만남마리아 미첼은 이 사진을 유럽에 알리고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