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07
있다. 아이스크림은 세종류로 구분되는데 아이스캔디나 샤베트 등은 아이스크림과
구별
, 빙과류라고 한다. 색깔을 내기 위해 식용색소는 무엇을 사용했고 언제 만든 것인지를 표시하도록 법령으로 정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아이스크림시장은 연간 약 4천억원 정도지만 해마다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07
개구리는 알에서 개구리가 되기까지 약 3개월이 걸린다).가래발개구리는 보통 개구리와
구별
되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방광 속에 체중의 3분의 1정도나 되는 물을 저장해 두고 극히 조금씩 사용한다. 바삭바삭한 흙속에서도 피부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다. 일반적으로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07
기초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변이의 본질을 설명할 수 없었으며 획득형질과 유전적 변이를
구별
짓지 못했다.그러나 이 문제는 1900년 멘델(Mendel)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됨에 따라 유전현상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얼마 뒤 유전적 변이와 자연선택이 진화의 요인이라는 와이스만(Weismann)의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7
넓혔다. 방대한 기초자료들 속에서 독창성이 풍부한 아이디어와 그렇지 않은 다수를
구별
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 세계 각국에서 인용분석법은 신뢰도 높은 기술력 측정도구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일본 지배 과학기술 전분야로CHI의 최근 연구결과는 기업들이 '총체적 기술력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07
않다. 표층의 파도소리나 물고기들에 의한 소리 등등, 이러한 수많은 잡음을 반향파와
구별
해내는 작업은 엄청난 수학적인 계산을 요구한다. 크레이Ⅰ은 이를 훌륭히 수행했다. 드디어 ARCO사는 알래스카에서 기존의 원유회수율을 10%나 높이는데 성공했다. 다른 석유회사도 질세라 크레이Ⅰ을 ... ...
인류의 남자조상은 아프리카 피그미족?
과학동아
l
199107
따라서 이 현상을 분자시계(molecular clock)로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즉 각 민족을
구별
짓게 하는 돌연변이의 수를 모두 헤아린 뒤 이만한 변화가 나타나려면 얼마만한 시간이 걸렸겠는가를 역으로 따져 인류 최후의 공동조상이 살았던 시기를 추정해 낸 것이다.이렇게해서 이땅에 성경이 아닌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07
항공기 동체 및 날개에 의한 소닉붐(sonic boom), 그리고 발사체의 로켓에 의한 소음으로
구별
할 수 있다.■기체소음항공기 이착륙시에는 날개의 유효면적을 늘리기 위해 날개 뒤쪽에 있는 플랩(flap)을 크게 하고, 활주로에서 주행하기 위해 착륙(landing) 기어를 이용한다.이러한 장치들은 비행기의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06
열역학 분야가 차례로 체계화하여 오늘날과 같은 물리학 분야가 독자적인 학문으로
구별
정립된다.물리학을 본따 생물학에서도 종합화 체계화가 이루어지는데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일이 해부학적 지식의 발전 현미경의 발명으로 촉진됐다. 해부학의 발전으로 인체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 ... ...
색을
구별
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06
능력을 부여하면 이 로봇은 익은 오렌지색 과일만을 따내게 될것이다.이렇게 색상을
구별
하는 능력을 갖추려면 로봇은 내부에 크고 고가인 컴퓨터를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스웨인의 로봇팔에도 데스크톱 컴퓨터 크기만한 영상프로세서가 달려 있는데, 그는 앞으로 수년내에수많은 산업용 로봇이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06
볼 수 있다. 그러나 육안으로 불 수 있는 별들 중에서 가장 흐리게 보이므로 다른 별들과
구별
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천왕성은 망원경으로 그 운동이 추적될 때까지 행성으로 알려지지 못했다. 이 천체는 1690년 이후 적어도 20번이나 성도(星圖)에 보통별로 기록됐음이 나중에 밝혀졌다. 이처럼 여러번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